
울산시가 시내버스 노사의 임금협상 결렬 가능성에 대비해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한 비상 대책 마련에 나섰다.
시는 현재 진행 중인 버스 노사 간 임단협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며, 운행 중단 시 즉각적인 정보 제공과 교통 대책을 병행 추진하겠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임금 및 단체협상은 지난 3월5일부터 시작돼 총 6차례의 개별 교섭과 울산지방노동위원회 조정회의가 3차례 이뤄졌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주요 쟁점은 지난해 12월 대법원이 판결한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 여부다. 노사 모두 이를 임금체계에 반영하는 데는 공감했지만, 인상률과 단체협약 조정 등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견해차를 좁히지 못한 상태다. 이에 따라 지난 5월28일까지 연장된 조정이 무산됐고, 최종 조정 기한은 6월5일로 재차 연장됐다.
노사는 교섭 결렬에도 시민 불편을 고려해 아직 정상 운행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최종 조정 기한인 5일 협상이 다시 결렬될 경우 울산 시내버스 전체 187개 노선 중 105개 노선, 총 702대가 운행을 멈출 가능성이 제기된다.
시는 비상상황 발생 시 시민 안내를 위해 재난 문자와 TV 방송을 통해 신속히 정보를 전달하고, 승용차 요일제 해제, 공영·공공기관 주차장 개방, 법인·개인택시 운행 확대 등 대책을 즉시 시행할 방침이다. 또 기업체와 학교에는 출퇴근·등하교 시간의 자율 조정, 통근버스 확대 운영, 승용차 동승 등 자발적인 협조를 요청할 계획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파업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고, 노사 간 원만한 타결이 이뤄질 수 있도록 끝까지 상황을 예의주시하겠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