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구·군별 집합건물 경매 낙찰가율 편차 커...북구 80% 이상 ‘고공행진’…동구 50% 이하 ‘뚝’
상태바
울산 구·군별 집합건물 경매 낙찰가율 편차 커...북구 80% 이상 ‘고공행진’…동구 50% 이하 ‘뚝’
  • 서정혜 기자
  • 승인 2025.06.10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지역·단지별 수요 격차로 인해 울산 5개 구군별로 집합건물 경매 낙찰가율이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울산 동구 아파트단지 전경. 경상일보 자료사진
지역·단지별 수요 격차로 인해 울산지역 구군별로 집합건물(아파트·다세대·연립주택) 경매 낙찰가율이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지역 평균으로는 60%대 낙찰가율을 기록한 가운데 북구는 80% 이상을 기록했고, 동구는 50% 아래로 뚝 떨어졌다.

9일 한국부동산원 임대차 시장 사이렌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울산의 집합건물 경매 낙찰가율은 51.5%로 울산 전체 평균(68.4%)을 크게 밑돌았다.

구군별로 보면 동구가 51.5%로 가장 낮았고, 북구가 78.3%로 가장 높았다. 중구는 65.2%, 남구는 73.1%, 울주군은 68.1%를 나타냈다.

특히 동구는 지난해 연말 기준 낙찰가율이 72.0%를 기록했지만, 올해 1월 63.5%, 2월 62.6%로 하락했고, 3월에는 51.1% 기록하며 50%대로 뚝 떨어졌다.

이는 최근 선호도가 떨어지는 동구 구축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하락하면서, 경매 물건이 다수 나온 것이 동구 집합건물 경매 낙찰가율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동구는 최근 아파트 매매가격도 지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울산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누적 0.28% 하락한 가운데 동구는 같은 기간 1.25% 곤두박질쳤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 4월까지 울산 5개 구·군 평균 아파트값은 0.08% 상승했지만, 동구는 0.85% 내렸다.

거래량도 주춤하고 있다. 울산지역 전체 아파트 거래량은 2023년 1만1957건에서 지난해 1만3759건으로 15.1% 늘었지만, 동구는 2023년 1387건에서 2024년 1495건으로 8.0% 늘어나는데 그쳤다.

다만 동구는 지난해에만 아파트 전셋값이 누적 2.1% 상승하고 올해도 4월까지 0.81% 오르는 등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동구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동구라도 선호 단지거나 거래량이 많은 신축·준신축 단지의 경우 경매 절차 진행 중에 거래가 돼 경매가 취소되기도 한다”면서 “낙찰가율이 크게 하락한 것은 선호도가 떨어지는 물건들이 경매에 몰린 것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6)도시바람길숲-새이골공원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문성해 ‘한솥밥’
  • 양산 황산공원 해바라기 보러 오세요
  • 울산 부동산 시장 훈풍분다
  • 추억 속 ‘여름날의 할머니집’으로 초대합니다
  • 2025을지훈련…연습도 실전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