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당인 더불어민주당의 내년 지방선거의 성공 여부에 따라 이재명 정부의 초반 국정동력에도 상당한 변수가 될 수 있다. 때문에 민주당 안팎에선 국정 운영의 중장기 로드맵에서 지방선거 필승전략이 은밀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여권의 핵심 인사는 10일 “현시점에서 내년 지방선거를 언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을 아끼면서도 “이재명 정부 1년차에 치러지는 전국 단위 선거인데다, 시도지사들의 당적에 따라 국정동력에도 차이가 있을 수도 있지 않겠느냐”라고 했다. 지방선거의 중요성을 우회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1년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 가운데 최대 관심사인 울산시장 선거는 늦어도 내년 2~3월께 여야의 공천작업이 본격화 된다. 이에 따라 올 연말까지 가시화될 유력 후보군의 동선에 관심이 쏠린다.
민주당은 중앙당 지도부가 울산 민심을 면밀하게 점검한 뒤 경쟁력 후보군을 압축, 경선으로 후보를 선출할 가능성이 높다. 사실상 유력 후보를 압축한 뒤 경선의 흥행몰이를 본선으로까지 이어갈 가능성이 제기된다. 여권 핵심부는 기존 인물 외에도 지역 여권인사 가운데 대통령실 또는 정부에 기용하는 등 ‘몸집을 키워’ 지방선거 때 ‘하산’을 시도할 가능성도 있다.
야당인 국민의힘은 현직 김두겸 시장이 재선 의지가 확고한 상황에서 같은 당 소속 현역의원 등과 일부 기초단체장들의 움직임이 주목된다.
특히 국민의힘은 오는 16일 선출하는 임기 1년의 원내대표에 이어 차기 전당대회에서 당대표가 누가 되느냐가 일부 변수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5개 구·군 기초단체장의 경우엔 거대 양당의 공천로드맵과 함께 범여권으로 분류되는 진보당의 전략적 제휴여부에 따라 동·북구에서 예측불허가 될 가능성도 있다. 특히 이재명 정부의 1년 평가 여론 흐름에 따라선 중·남구, 울주군까지 격전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전망도 나온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