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9년부터 6년간 추진된 사업에 투입된 예산만 80억원에 달하는데, 사업 중단으로 ‘매몰 비용’이 될 위기에 처했다. 또 기존 부지 활용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17일 울주군의회 등에 따르면, 군은 지난 2019년부터 서생면 명산리 옛 영어마을 부지 5.7㏊를 활용해 대규모 임대형 스마트팜 단지 조성에 나섰다.
농업의 첨단화와 청년 농업인 유치, 지역 농업 경쟁력 제고를 목표로 한 이 사업은 처음에는 국비 공모사업으로 추진됐다.
하지만 수차례에 걸친 공모에서 모두 탈락했고, 정부의 관련 공모사업마저 지난해를 끝으로 종료되면서 사업 추진이 사실상 중단됐다.
이 과정에서 군은 부지 추가 매입, 도로 등 기반 시설 조성에만 약 80억원의 예산을 투입했다. 당초 계획했던 총 사업비 372억원 중 국비 140억원을 확보하지 못하고, 추가 예산 확보 부담마저 커지면서 군은 결국 사업 추진을 공식적으로 포기했다.
게다가 대안 중 하나로 검토됐던 ‘스마트농업 육성지구 조성 사업’ 역시 공모 신청을 포기했다. 임대형 스마트팜 사업은 부지 기준이 5㏊ 이상이지만 육성지구 사업은 10㏊ 이상의 부지를 확보해야 하기에 막대한 추가 예산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사업은 오는 2029년까지 전국 15곳을 선정하는 것으로, 사업 내용에 임대형 스마트팜 조성 지원이 포함돼 있다.
군이 사업 추진을 포기함에 따라 이미 투입된 예산은 고스란히 매몰 비용으로 남을 가능성이 커졌다.
스마트팜 단지 조성을 위해 매입한 부지와 조성된 기반 시설은 당장 활용 방안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군은 스마트팜 조성 예정 부지의 활용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 최근 각 실·과에 의견조회를 요청했다.
이상걸 울주군의원은 “지역 국회의원과의 연계 등 세부적인 추진 전략이 없는 상태로 사업을 진행하다 보니 이런 상황까지 온 것 같다”며 “부지 비용을 포함해 수백억원이 투입되고 막대한 매몰 비용이 예상되는데, 이를 줄이기 위해서라도 식물원과 서생해양관광단지 등 인근 사업, 기반 시설과 연계할 수 있는 사업을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