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환경보호협의회와 울산대 산업대학원은 지난 20일 울산테크노파크 본부동에서 ‘울산의 신재생에너지, 무엇이 문제인가?’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열었다.
이번 심포지엄은 산업도시 울산의 풍력발전과 그린수소 생산 기술 개발 현황을 살피고, 기후변화 위기 극복과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 가능한 발전 모델을 모색하고자 마련됐다.
첫 주제 발표자로 나선 이병규 울산대 산업대학원장은 ‘수소생산 문제·그린수소의 발전 방안’을 주제로 수소의 종류·생산법에 따른 환경 문제·생산 효율·가격 등을 다뤘다.
이 원장은 “기존 화석연료의 연소를 통한 에너지 생산과정에서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피할 수 없어 지구온난화와 가뭄·홍수·산불 등과 같은 기후변화 위기를 초래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 원장은 색깔로 구분되는 수소생산법(수소 레인보우)의 여러 가지 환경적 특성과 에너지원 활용 때 발생하는 현황·문제점 등을 짚었다.
이어 김경환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책임연구원이 ‘부유식 해상풍력 기술개발 현황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하고, 터빈 대형화에 대비한 국내 기술개발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머지않아 부유식 해상풍력의 동북아시아 허브로 도약할 수 있는데, 특히 울산이 조선해양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박흥석 울산대 명예교수를 좌장으로 신은우 울산대 에너지화학공학부 교수, 김희종 울산연구원 안전환경연구실장, 황인석 울산 녹색에너지 포럼 사무국장, 김문식 조양 대표이사가 의견을 펼쳤다.
서정혜기자 sjh3783@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