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시에 따르면 이 사업은 ‘편리함을 더하고, 부담은 덜어주는 울산형 교통체계’를 목표로 하는 시정 핵심 과제 중 하나다.
기존 정부의 K-패스 제도에 울산만의 혜택을 더한 것이다. K-패스는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지난해 5월부터 운영 중인 전국 단위 대중교통비 환급 제도다.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다음 달 일부 요금을 환급받을 수 있다. 환급률은 일반 성인 20%, 만 19~34세 청년 30%,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53%, 다자녀 가구 중 2자녀 이상 30%, 3자녀 이상 50% 등이다.
시가 도입하는 U-패스는 울산만의 혜택을 추가로 담았다. 우선 울산의 시내버스, 직행좌석, 리무진, 지선·마을버스는 물론 다른 지역 지하철 등도 대상 교통수단으로 포함했다.
또 청년층과 교통약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지원 폭을 넓혔다. 60회까지만 환급하는 K-패스와 달리 환급 횟수 제한을 없앴으며, 청년 연령 기준을 만 39세까지로 확대했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환급률은 최대 100%까지 올려 전액 환급이 가능하다.
K-패스 가입자는 별도 신청 절차 없이 U-패스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신규 이용자는 K-패스 홈페이지나 각 카드사 홈페이지에서 참여 대상 교통카드를 신청해야 한다. 카드 발급 후에는 반드시 K-패스 홈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에서 회원 가입을 해야 교통비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현재 시행 중인 어린이 시내버스 무료화, 7월 시행하는 어르신 시내버스 무료화에 이어 U-패스가 울산시민의 교통비 부담을 줄이고 취약계층 이동권을 보장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대상자들이 최대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홍보와 시행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