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미래형 친환경 AI 인프라의 핵심으로 꼽히는 ‘수중 데이터센터 단지’ 구축 사업에 본격적 나선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최근 이재명 대통령에게 직접 사업 필요성과 비전을 설명하며 정부 차원의 예산 지원을 요청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23일 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GS건설, 포스코와 함께 울산 앞바다 수심 30m 지점에 서버 10만대 규모의 하이퍼스케일 수중 데이터센터 단지를 조성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 사업은 ‘해저공간 창출 활용 기술개발 사업’과 연계해 진행되고 있다. 시는 내년 말까지 기술개발 사업을 마무리하고, 협약기관들과 함께 수중 데이터센터 단지 구축을 위한 연구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앞서 김두겸 시장은 지난 20일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AI 글로벌 협력 기업 간담회’에서 이재명 대통령을 만나 수중 데이터센터 단지 사업의 비전을 직접 설명하고, “울산 앞바다에 세계적 수준의 데이터센터 단지를 조성해 국가 차원의 차세대 인프라를 선도하겠다”며 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당부했다.
수중 데이터센터는 AI 시대에 급격히 증가하는 전력수요 문제를 해소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AI 서버의 연산량 증가로 인해 발열이 심화되고 있으며, 이를 식히기 위한 냉각 전력이 전체 전력 사용의 절반가량을 차지한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오는 2030년에는 데이터센터가 전 세계 전력 사용량의 13%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울산 앞바다에 추진되는 수중 데이터센터는 바닷물을 자연 냉각수로 활용, 기존 육상 데이터센터보다 서버 냉각 효율을 최대 70%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다. 전체 전력 소모량도 35~40%가량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절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울산시는 지난해 KIOST, GS건설, 포스코와 ‘친환경 수중 데이터센터 단지 구축 연구’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연구사업 추진과 원천기술 개발을, GS건설과 포스코는 냉각·방열 기술 개발, 최적설계와 시공기술 등을, 울산시는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한 행정업무를 맡는다.
울산 앞바다는 탁도, 조위, 수온 등 해양환경이 수중작업에 용이한데다 최근 20년간 해저지반 침하 이력이 없어 재해 안전성도 높다. 글로벌 조선해양플랜트 기술도 포진해 해저공간 조성의 최적지로 꼽힌다. 전세계 최대 규모의 원자력발전단지와 해상풍력단지, 분산에너지특구와 맞물려 전력수급이 안정돼 있다는 것도 강점이다.
특히 울산은 최근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다.
추후 분산특구로 확정되면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에 따라 울산은 수도권보다 전기요금이 낮아질 전망이어서 운영비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다만 약 5000억원에 달하는 전체 사업비와 5년에 걸친 연구개발 기간은 부담 요인이다. 울산시는 현재 정부 부처와 협의하며 국가예산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