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은 증인 채택 협상의 결렬 경위와 김 후보자의 자료 제출 상황 등을 놓고 시작부터 격돌했다.
김 총리 후보자는 모두발언을 통해 “인수위 없이 맨바닥에서 시작한 정부가 빠르게 대한민국을 안정적 궤도로 올려놓으려면 여야를 비롯한 정치권의 협조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의 고군분투만으로 정부가 운영되는 안타까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 속히 정부가 제자리를 찾고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은 지금 안팎으로 총체적 위기 상황에 직면해 있다. 슈퍼 복합 넛크래커(nutcracker·호두 까는 기구) 상황 속에서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때보다 더 힘든 총체적 위기가 올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로 다가왔다”고 진단했다.
김 후보자는 이어 자신이 과거 IMF 시절 정부 비대위 대변인, 국회 보건복지위원장, 민주당 정책위의장 등을 지낸 경험을 나열하며 “이런 경험이 새로 출범하는 정부의 안정적 정착과 현재 위기 극복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또한 “새로운 정부에 부합하는 새로운 모습의 총리가 되고자 한다.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혁신하는 총리, 의전에 갇히지 않는 실용적 총리, 책상에서만 일하지 않는 현장형 총리, 일방적 지시가 아닌 경청하는 소통형 총리가 되겠다”고 다짐했다.
특히, 국정 방향에 대해선 “실기하지 않겠다. 우선순위를 명확히 하겠다. 대한민국 미래를 위한 성장 동력을 마련하겠다. 사회적 대화 모델을 구축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이와 함께 “모든 국민을 아우르고 섬기는 모두의 대통령이 되겠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사 말씀의 정신에 따라, 저 역시 모두의 총리로 모든 국민을 아우르고 섬기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미동맹과 관련해 김 총리 후보자는 “국제 질서가 재편되는 상황에서 안보만이 아니라 경제, 정치, 문화 등 모든 면에서 한미 동맹의 ‘더욱 정립, 더욱 강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한미동맹은 제가 정치를 배운 김대중 대통령 이후 진보와 보수를 떠나 대한민국 정치와 외교의 기본 축”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한 이 대통령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에 불참한 것과 관련해서도 “일부에서 외교 방향이 반미 또는 친중 외교가 되는 것이 아니냐고 우려하는 것은 과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국과 유럽 국가들 사이의 여러 이견으로 인해 참가국의 메인 세션이 2시간 반으로 줄어들어서 초청국들에는 기회가 거의 없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려 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의미 있는 참여도 중동 정세 때문에 어려워질 수 있었고, 한국 경제에 미칠 수 있는 영향까지 고려해서 최종적으로 안 가신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