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건강연대, 울산대병원 호스피스자원봉사회, 울산불교환경연대 등은 24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울산대병원의 돈벌이를 위한 병동 폐쇄 결정을 철회하라”며 울산시의 개입을 촉구했다.
이들은 “호스피스 완화의료는 단순한 치료를 넘어 인간 생명의 고귀함을 지켜내는 총체적 돌봄이자 인류 보편의 윤리 행위”라며 “성과도 좋고 시민 지지도 높은 권역센터를 일방적으로 폐쇄한 것은 병원을 생명의 공간이 아니라 수익기관으로 본 결과”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울산대병원이 입원형 호스피스만 중단한 것처럼 축소 보고하고 권역센터 기능 폐지는 보건복지부 소관이라고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며 “울산시는 권역 호스피스센터 유지를 위한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적극 개입을 촉구했다.
울산대병원 호스피스 병동은 지난 2013년 지역 최초로 완화의료 서비스를 시작해 2019년부터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권역형 센터로서 울산과 경남 일부 지역의 말기 암환자 등을 주로 돌봐왔다.
그러나 지난달 울산대병원은 보건복지부에 입원형 호스피스 등록기관 폐업을 신고했고 이번 조치로 울산 호스피스 병상은 기존 62병상에서 52병상으로 축소됐다. 현재는 지역 요양병원 2곳이 각각 32병상과 20병상을 운영 중이다.
보건복지부는 지정취소를 승인하지 않고 병원 측에 폐쇄 결정 재검토를 요청했다. 울산시는 울산대병원 권역 센터 지정 취소 시 타 종합병원이 공모에 신청하도록 독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은정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