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권 메가시티로 묶이는 세 도시가 각자의 여건과 과제를 반영한 협의체 구성에 속도를 내면서, 의료 인프라 강화와 전문인력 확보 등 실질적 성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15일 본보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부산시는 경상남도, 부산·경남 의과대학 5곳과 지역 의료 인재 양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은 지자체와 의대가 함께 지역 사회 연계 협력 체계를 구축해 지역의 우수한 의료인재를 양성하고, 지역완결적 의료체계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들 기관은 지역 의료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협의체를 구성했다. 부산대·인제대·고신대·동아대·경상국립대 5개 의대생의 공공의료기관 교육과 실습, 필수 의료인력의 지역 정착률을 높이는 기반 마련을 위해 협력하려는 게 핵심 전략이다.
울산시도 팔을 걷어붙였다. 시는 울산대학교와 16일 ‘지역의료와 울산의대 상생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는다.
이는 소아·분만·응급 등 필수 의료분야 강화를 위해서는 현장 중심의 교육과정을 통해 의료인재를 체계적으로 육성할 필요성이 크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결과다. 시와 울산대는 지역의료 발전과 교육 정상화에 공동으로 노력할 방침이다.
시는 의학교육 기반 여건을 구축하고 개선하기 위해 행정적 지원을 추진하며, 의대 졸업생이 지역에 정주할 수 있도록 돕는다. 중앙부처와 협의해 의대 정원 확보에도 적극 협력한다.
울산대는 의대생이 서울이 아닌 울산대병원에서 집중 임상실습을 받을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운영하고, 전공의가 안정적으로 수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에 나선다.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와 연계해 지자체와 상호 협력할 경우 울산대는 정부 평가에서 실질적 지원과 이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울산시 관계자는 “지역 의료 발전을 위해 울산대와 지속적으로 협력하면서 의대 교육환경 조성과 우수 인재 육성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