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총리 주재, 3차 수소경제위원회
SK, 액화플랜트 등 18조원 투자
현대차그룹, 수소차 11조원 투입
수소 생태계 구축 협력 강화키로
SK, 액화플랜트 등 18조원 투자
현대차그룹, 수소차 11조원 투입
수소 생태계 구축 협력 강화키로

정부는 2일 오후 SK인천석유화학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제3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5개 그룹과 중소·중견기업은 2030년까지 수소 생산과 유통·저장, 활용 등 수소경제 전 분야에 43조3000억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밝표했다.
SK는 대규모 액화플랜트 구축과 연료전지발전소 등에 18조5000억원, 현대차는 수소차 설비투자 및 연구개발(R&D), 충전소 설치 등에 11조1000억원을 각각 투자한다.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 개발 등에 10조원, 한화는 그린수소 생산 등에 1조3000억원, 효성은 액화수소플랜트 구축과 액화충전소 보급 등에 1조2000억원을 각각 투자하기로 했다, 중소·중견기업들도 가정용 연료전지와 그린수소 R&D 등에 1조2000억원을 투입한다.
이와 관련, 현대차그룹과 SK그룹은 이날 이날 제3차 수소경제위원회 참석에 앞서 수소 생태계 확대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현대차그룹 측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을 비롯해공영운 현대차 사장, 장재훈 현대차 사장, 조성환 현대모비스 사장, 김세훈 현대차 부사장 등이, SK그룹 측에서는 최태원 SK그룹 회장, 장동현 SK(주) 사장, 추형욱 SK E&S 사장, 최윤석 SK인천석유화학 사장 등이 참석했다.
현대차그룹과 SK그룹은 청정 에너지인 수소가 지속 가능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한 탄소 중립 달성의 필수적인 요소라는데 공감하고, 시너지가 창출될 수 있는 협력 분야부터 우선 추진하기로 했다.
양 그룹은 수소전기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발굴에 나선다.
우선 SK그룹 사업장에서 운영 중인 차량 1500여대를 현대차가 생산한 수소전기차로 점진적 전환하고, 수소 카고트럭(2022년 예정)과 수소트랙터(2024년 예정) 등 수소상용차를 현대차그룹이 제공하고 SK그룹이 활용하는 방안 등을 협의했다.
양 그룹은 수소및 초고속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구축에도 힘을 모은다. 2021년 말까지 인천·울산 지역의 물류 서비스 거점인 SK내트럭하우스에 상용차용 수소충전소를 각 1기씩 설치하며, 전국의 SK 주유소 등에 수소 충전소를 설치하기 위한 구체적 협력 방안도 지속 협의할 계획이다.
또한, SK 주유소 등에 전기차 급속 충전기(200㎾급)를 설치하는 방안도 협의하는 등 친환경차 충전 인프라 확충을 위한 협력을 지속한다.
양 그룹은 포스코그룹과 더불어 국내 기업간 수소사업 협력을 위한 CEO 협의체인 ‘한국판 수소위원회(K-Hydrogen Council)’ 설립을 상반기 중 추진한다.
현대차그룹은 현대·기아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의 1차 배터리 공급사로 SK이노베이션을 선정하는 등 SK그룹과 친환경차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차를 양산한 현대차는 2030년까지 연간 수소전기차 50만대,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70만 기를 생산하겠다는 목표다.
SK그룹도 지난해 12월 차세대 에너지로 수소사업을 집중 육성하겠다는 방침 아래 ‘수소사업추진단’을 출범하고, 국내 수소사업 추진 및 글로벌 시장 진출 등을 통해 수소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수소는 에너지원일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저장체로도 활용할 수 있어 탄소 중립 시대의 ‘에너지 화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SK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수소의 생산·유통·활용이 유기적으로 이뤄지는 건전한 수소 생태계를 구축하고, 성공적인 에너지 전환을 통한 수소사회의 실현을 한 발 앞당길 것”이라고 말했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