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별도의 태스크포스 구성해
기술수준·품질·안전성 검토키로
S-OIL, SK이노베이션 등 정유업계가 차세대 바이오연료 도입과 정유 공정상 친환경 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하고 나섰다.
정유업계는 11일 2050 탄소중립에 대비한 민관 소통창구인 ‘정유업계 탄소중립 협의회’를 발족하고 에너지 대전환과 친환경 산업구조 변화 과정에서 탄소중립 추진전략을 논의했다.
특히 정유업계는 차세대 바이오연료 도입과 정유 공정상 친환경 원료 활용에 대한 정부 지원을 요청했다.
차세대 바이오연료는 동식물성유지·폐식용유 등을 메탄올과 반응시켜 생산하는 기존 바이오연료와 달리, 바이오 원료를 수소와 반응시켜 생산하는 고품질의 바이오 연료다.
정부는 업계·전문가와 별도의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기술수준, 품질, 안전성 등을 검토하기로 했다.
정유산업은 2019년 기준 연간 탄소 배출량이 약 3200만t으로, 전체 산업 배출량의 약 6%를 차지한다. 철강, 석유화학, 시멘트에 이어 4번째로 많다.
임재규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주제 발표에서 “정유산업은 세계 5위 정제능력을 갖춘 우리나라 6위 수출산업이지만, 탄소중립 추진 과정에서 심각한 어려움이 예상되는 만큼 기술혁신을 통한 산업 고도화와 기존의 감축 수단 외에 추가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대한석유협회는 정유공장과 산업단지 내 열통합을 통한 에너지 절감, 고탄소연료(B-C유)에서 저탄소 연료(LNG)로의 전환, 제조 공정상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포집 등 정유업계가 그동안 실행해온 온실가스 배출 감축 노력을 소개했다. 그러면서 향후 추가적인 탄소 저감과 탄소중립을 위해 블루수소 생산, CCU(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 기술 개발·적용, 신재생 에너지 사용, 친환경 사업 다각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정동채 석유협회 회장은 “지난해 코로나19로 인한 석유 수요 감소로 국내 정유산업 태동 이후 최대 영업손실(약 4조6000억원)을 기록한데다, 화석연료에 기반을 둔 산업의 특성상 탄소중립은 당장 달성하기 힘든 목표”라고 언급했다.
이어 “그럼에도 지속 가능하고 탄소중립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노력하겠다”면서 “업계의 탄소중립 기술개발 및 시설투자에 대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해달라”고 말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