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불확실속 자산가격 상승
금융불균형 심화 가능성 경고
금융불균형 심화 가능성 경고

아울러 지난 14년간 국내 집값 변동률의 70% 이상이 수급 등 국내 원인에 따른 것이고, 최근 집값이 오른 데는 공급부족 우려와 전셋값 상승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한은은 11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앞으로도 가계대출 증가 압력은 최근의 주택거래 현황, 신종코로나 관련 자금수요, 개인의 차입투자 증가세 등에 비춰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주택 관련 대출 증가 요인으로는 완화적 금융여건 지속에 대한 기대, 주택 매매·전세 거래 수요, 대출 의존도가 높은 30대 이하 주택 매매거래 비중 확대 등이 꼽혔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 역시 주식투자를 위한 차입수요, 코로나 관련 생활자금 수요 등을 고려할 때 증가세가 크게 줄어들기 어렵다는 게 한은의 예상이다. 최근 급격한 자산 가격 상승에 따른 부작용도 우려됐다.
한은은 “경제위기 후 경기회복 국면에서 자산가격 상승은 자연스러운 현상일 수 있지만, 이번 코로나19 확산 이후 국내 자산가격 상승세는 빠르다”며 “코로나 재확산으로 경기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에서 자산가격 상승세가 지속되면 자산불평등, 금융 불균형이 심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최근 주택가격 상승의 배경으로는 우선 시장의 ‘공급부족’ 예상이 지목됐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