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염포산 터널 통행료 무료화와 관련한 김미형 울산시의원의 서면질문에 대해 이같이 답했다.
시는 “지난 4월 개최한 시·동구 정책간담회시 동구에서 동구민에 대한 염포산터널의 통행료 무료화 건의가 있어, 현재 타 시도 지원사례 파악 및 지역 시민단체 의견 수렴을 통해 통행료 지원과 관련한 제반사항을 검토 중이다”고 밝혔다.
시는 “염포산 터널을 대체하는 동구 진·출입 도로인 아산로~방어진순환도로를 통해 차량 진·출입이 가능하고, 이용자들의 필요에 따라 유료도로 사용을 선택할 수 있다”며 “아울러 염포산터널 무료화 도입 시, 울산대교 통행량에 영향을 줄 수 있어 민간운영사의 동의가 선행돼야 하고 시의 막대한 예산 부담과 함께 통행료 무료화에 따른 염포산터널의 통행량 집중으로 새로운 교통문제 발생이 예상된다”고 했다.
또 시는 “울산대교는 민간투자사업인 만큼 운영자의 동의를 전제로 시에서 관리·운영권을 인수할 경우 금융권 채무 및 미래 기대수익을 고려할 경우 약 310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시 재정상황이 넉넉하지 못한 점, 인수한 후에는 매년 74억원 정도의 유지관리비용이 발생되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민자사업 인수는 적절하지 않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울산대교 활성화 방안과 관련, 시는 “최근에 그간 사업운영자에게 지급한 통행료 인하차액에 대한 부가가치세를 국세청으로부터 환급받았다”면서 “이 예산으로 통행료 카드결재 시스템 개선, 통합복지카드 기능 통합, 차량번호 인식시스템 구축, 지진계측기 통합관리시스템 설치 등을 통해 이용자 편의증진과 활성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