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민 78% “재난·안전교육 필요하다”
상태바
울산시민 78% “재난·안전교육 필요하다”
  • 이왕수 기자
  • 승인 2021.08.17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민의 절반 이상이 평소 재난·사고에 대비하고 있고, 주요 대비 방법은 재난경보·대응정보 수신, 재난교육 및 응급체험, 대피시설 위치 확인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연구원(원장 임진혁)은 16일 ‘URI인포그래픽스 제2호’를 통해 지난 1분기 시민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재난·안전 의식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결과에 따르면 시민 56.6%%는 평소 재난사고에 대비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대비 방법은 ‘재난경보 및 대응정보 수신’이 25.1%로 가장 많았고, 대피시설 위치 확인(19.1%), 재난교육 및 응급체험(19.1%), 재난관련 보험가입(11.2%), 주변 위험시설에 대한 신고(7.7%), 재난·안전 관련 시민단체 활동 참여(4.4%) 등이었다.

또 재난·안전 정보 습득 경로는 TV, 라디오 방송(33.7%), 인터넷(23.4%), 공공기관 홍보 및 캠페인(10.9%), 직장 교육(8.4%), 주위 사람(7.6%), 안전관련 스마트폰 앱(6.7%) 등이었다.

재난·안전사고에 대비하지 않는다는 응답자의 54.8%는 ‘무엇을 준비할지 몰랐다’고 답했다. ‘비용·시간이 없음’(13.8%), ‘자신에게 재난피해가 안 올 것이라는 판단’(12.9%), ‘정부가 잘 대응하고 있다는 생각’(6.5%) 등이다.

이와 함께 시민 54.4%는 재난·안전 교육이 필요하다고, 23.4%는 매우 필요하다고 각각 응답했다. 선호하는 교육분야로는 화재안전(21.4%), 응급처치(18.8%), 교통안전(17.5%), 지진안전(16.8%), 화학·원자력 재난교육(14.1%) 등이 꼽혔다.

교육 우선 대상은 아동(30.2%), 청소년(23.2%), 성인(21.6%), 노인(10.8%), 장애인(5.0%), 영유아(3.4%), 외국인(1.8%) 등의 순이었다.

교육훈련 주기는 연 2회가 적당하다는 응답이 33%로 가장 많았고, 교육 효율성 증대방안으로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교육(28.0%), 상황별 실전훈련(19.8%) 등으로 나타났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