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31일 울산 3조여원 등을 포함해 내년도 예산안으로 604조4000억원을 편성했다. 정부는 ‘완전한 회복과 강한 경제’를 위해 내년도 예산을 확장적으로 편성했다.
시는 기획재정부가 오는 3일 국회에 제출하는 2022년도 국비 정부안에서 울산 관련 예산이 총 3조2101억원 반영됐다고 이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정부안 2조7884억원에 비해 4217억원(15.1%) 증액된 역대 최대 규모다. 지난 2019년 정부안에 2조332억원이 반영돼 처음 2조원대를 돌파한 뒤 불과 3년 만에 3조원대 진입에 성공했다.
2022년 정부 예산안이 2021년 558조원에서 604조원 수준으로 8% 정도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증가 규모가 두드러진다. 시는 하반기 결정되는 공모 사업과 국회 심의 단계에서 추가 반영될 예산, 10월말 확정될 보통교부세를 포함할 경우 4조원대에 가까운 국가예산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는 그동안 지역 현안 사업 반영과 국비 확보를 위해 중앙부처 장관은 물론 기획재정부 제2차관과 예산실장 등을 수시로 만나 지역 상황을 설명하고 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을 적극 요청했다. 또 지난 5월 지역 국회의원과의 예산정책협의회, 7월 민주당과의 예산정책협의회 개최 등 정치권과의 공조도 이어왔다.
시는 3조원대 정부예산안 반영으로 민선 7기 핵심 사업을 성공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을 것으로 평가했다.
주요 반영사업 현황을 보면, 우선 미래 신산업 육성을 통한 새로운 성장 발판 마련과 관련해 △울산 게놈서비스산업 규제자유특구(71억원) △유전체 기반 바이오기술 지원센터 사업(16억 원) △3D프린팅 융합기술센터 구축(11억원)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지원 사업(65억원) △인공지능 기반 중량화물 이동체 물류플랫폼 실증(70억원) 등의 사업이 반영됐다.
교통망 구축 분야에서는 △울산외곽순환고속도로 건설(142억원) △농소~강동간 도로 개설(100억원) △농소~외동간 국도 건설(297억원) △청량~옥동 국도건설(109억원) △송정역 환승센터 구축(21억원) 등이 반영됐다.
의료·안전·고용 등 사회안전망 구축을 위한 사업으로 △산재전문 공공병원 건립(457억원) △고기능성 다목적 소방정 구입(89억원) △국가산단 지하배관 디지털트윈 선도사업(30억원) △영남권글로벌 숙련기술진흥원 설립(4억원) △대중소 상생형 협력사업(20억원) 등이 예산안에 이름을 올렸다.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는 △부유식 해상풍력 종합지원 콤플렉스 조성사업(20억원) △수소전기트램 실증사업(96억원) △원전해체연구소 건립(503억원)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46억원) △전기차 폐배터리 재활용 산업 육성 기반 구축(25억원) 등의 사업이 포함됐다.
영남권 글로벌숙련기술진흥원 설립과 국가산단지하배관 디지털 트윈 선도사업, 대중소 상생형 데이터·AI융합 제조혁신 협력사업 등의 신규 사업비가 반영됐고, 울산 재도약 기틀 확립을 위한 9개 성장다리 관련 사업비도 대거 반영됐다.
시는 내년도 국가예산 정부안이 오는 3일 국회에 제출되면 본격적인 국회 증액 대응 체제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아직 정부안에 반영되지 않은 울산의료원 건립과 조선해양 철의장 제조산업 디지털 전환 사업, 고자장 자석 원천기술 연구개발 등의 사업을 내년도 예산안에 반영시키기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는 계획이다.
국회에 제출된 내년도 정부안은 각 소관 상임위, 예결위 등의 심의를 거쳐, 12월3일 본회의 통과에 따라 확정될 예정이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