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6년 신세계와 중구가 백화점 건립 협약을 맺을 당시 신세계 측이 난색을 표한 것인데 이번에는 받아들일지 여부에 대한 관심이 쏠린다.
중구의회는 1일 열린 임시회에서 문희성 의원이 대표 발의한 ‘(주)신세계 울산혁신도시개발 현지법인화 촉구 결의안’을 8명 의원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중구의회는 결의안을 신세계, 청와대, 산업통상자원부, 공정거래위원회 등 6곳에 발송했다.
중구의회는 “지역사회가 신세계 계획에 반대하고 공분하는 이유는 신세계가 이윤추구에만 혈안이 돼 정작 시민들과의 약속을 지키지 않고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지역사회 입장에서는 대형유통업체의 현지법인화가 큰 도움이 된다. 우선 독립경영에 따른 의사결정권·권한이 해당 지역으로 이관돼 지역 업체 납품 제고, 판로 확대, 지역인재 채용, 협력업체 육성 등에 용이하다.
또 일자리 확대와 지방자치단체의 세수확보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대형유통업체 입장에서는 독립법인을 설립하면 별도 인력이나 비용이 추가로 필요해 부담이 만만치 않다는 반론도 있다.
롯데쇼핑은 KTX울산역 복합환승센터 개발에 앞서 울산에 본사를 두는 현지법인화에 나섰다. 신세계도 광주와 대구에 현지법인화를 진행했다.
이어 중구의회는 “혁신도시에 건립할 사업계획이 구체화되고 건축이 마무리된 뒤에 현지법인화를 요구하면 이미 늦다. 부산 신세계 센텀시티점 사례를 통해 이는 충분히 입증됐다”며 “신세계는 울산 현지법인화에 나서 혁신도시 상업시설 개발의 의지를 보여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정세홍기자 aqwe0812@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