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주지역인 이들 읍·면 발전협의회는 “당연한 결정을 두고 지연 또는 유보할 경우 불필요한 오해와 의혹만 커지기 마련”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앞서 지방 대도시 경제 재도약과 첨단미래도시 조성 등을 위해 울산을 포함한 5개 광역시(부산·대구·광주·대전)를 도심융합특구로 꼽았다.
울산시는 정부 발표 이후 각 구·군으로부터 후보지를 신청 받아 시정 조정위원회 등의 심의절차를 거쳐 KTX 역세권 복합특화단지 일원을 제1후보지로 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허령 삼남읍 발전협의회장은 “울산의 발전을 견인하고 백년대계의 초석을 다지는 중차대한 일에는 기본과 원칙이 지켜져야 함이 지극히 당연하다. 정치적 유·불리나 지역 안배라는 이유로 선택과 집중이 훼손돼선 안된다”며 “최적의 입지 조건에 울산 재도약의 반석이 될 제2도심의 KTX 역세권 복합특화단지 일원이 반드시 도심융합특구로 지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