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98년 외환위기 이후 약 24년 만에 6%대로 치솟았다. 글로벌 공급망 차질과 코로나19 이후 일상 회복의 영향으로 에너지·원자재 가격과 외식 등 서비스 가격이 계속 오르는 가운데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세도 확대되면서 물가 상승폭이 전월(5.4%)보다 커졌다. 더 큰 문제는 이같은 물가 오름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물가 상승 압력이 계속 커지면 서민 경제가 붕괴할 수도 있다. 영세상인과 취약계층들은 그 동안 코로나19라는 혹독한 시련을 극복해냈으나 이번처럼 물가가 수직으로 치솟는 상황에서는 어쩔 도리를 모르고 있다. 정부는 취약계층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정책을 하루빨리 펼쳐야 한다. 좋은 정책도 시기를 놓치면 쓸모가 없게 되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5일 국무회의에서 “지금 경제가 매우 어렵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의 경우 한 6% 정도 상승했다”며 “공급망 재편, 코로나 팬데믹이 겹치면서 전세계가 1970년대 오일쇼크 이후 가장 심각한 물가 충격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의 이같은 언급은 최근 국가경제가 얼마나 심각한 국면에 있는지를 직접적으로 말해준다.
실제 서민들의 고통은 여러 지수로 나타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민고통지수는 무려 10.6을 기록, 2015년 1분기부터 분기별 지수를 산출해온 이래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향후에도 국제원자재 가격 급등이 지속되면 기업들의 원가부담 흡수 여력이 약해져 소비자 물가도 생산자 물가처럼 가파른 상승세를 보일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달 21일 “국내외 물가 상승 압력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적절히 제어하지 않으면 고물가 상황이 고착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최근 울산을 비롯한 전국의 물가 상승 속도는 무서울 정도다. 이 가운데 7월부터는 본격적인 휴가철이 시작된다. 휴가철 물가 상승에 10월에는 전기요금과 가스요금 인상도 예정돼 있다. 정부는 추가경정예산을 투입해서라도 취약계층의 생활을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또 빚을 내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금리를 내려줘야 할 것이다. 또 여야 할 것 없이 모든 정치권은 이 비상 시국을 잘 넘기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