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0만이상의 도시를 말하는 메가시티는 세계적 흐름이다. 지방자치제 초기만 해도 콤펙트화해서 독창성을 찾는 것이 지방도시의 살길이었다면 이제 연대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어야만 살아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교통의 발달과 디지털 정보화 기술의 발전이 도시간의 경계는 물론이고 국제적인 문턱도 없어지면서 시야를 넓힌 젊은 세대들은 조금이라도 더 삶의 질이 높은 곳으로 옮겨가기를 서슴지 않는다. 세련되고 다양한 문화가 갖추어진 수도권 집중화는 갈수록 심화할 수밖에 없다. 지방소멸에 대한 대비는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시급한 과제다.
부울경특별연합은 3개 광역도시가 연대한 메가시티를 통해 서울 도쿄 상하이 홍콩 오사카 나고야와 견주는 동북아 8대도시로 성장하는 것이 목표다. 메가시티는 선진국에서도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UN조사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40개가량의 메가시티가 형성되고 있으며 전세계 경제활동의 약 66%가 이곳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한다. 부울경특별연합은 지난 4월 법적으로 인증을 받았고 내년 1월 가동을 목표로 추진 중에 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민선8기 들어 새로 취임한 김두겸 울산시장과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부울경특별연합에 그다지 긍정적이지 않다. 메가시티의 필요성을 인정하지 않는 건 아니지만 왠지 그 수혜가 부산에 집중될 것 같다는 느낌 탓이다. 김시장은 후보시절부터 부정적 견해를 내비치면서 “차라리 울산이 중심이 될 수 있는 경주·포항과의 해오름연대에 집중하겠다”고 한다. 박지사는 부울경메가시티의 실익과 경남도내 균형발전방안 등을 주제로 용역을 발주하는 등 이미 재검토를 시작했다. 가덕도신공항, 2030부산엑스포유치 등 부산에 유리한 사업들이 메가시티의 현안이 되고 있는데 따른 어쩔 수 없는 불안감과 상대적 박탈감으로 해석된다. 박형준 부산시장이 적극 나서 울산과 경남도를 설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현실적으로는 머뭇거릴 여유가 없고, 장기적 관점에서 메가시티를 부정할 이유도 없다. 부울경특별연합은 내년부터 시작할 선도사업을 30개 선정해놓고 있어 당장 예산확보에 사활을 걸어야 할 상황이다. 이들 사업에 필요한 예산만 7조원 규모다. 2단계 사업은 40개다. 합치면 예산규모가 35조원이다. 더 시급하고 절실한 문제는 광역교통망 확충이다. 이미 계획된 광역철도망 추진을 위한 예산편성의 시기를 놓쳐서는 안 된다. 광역철도망은 메가시티의 성공을 가늠하는 가장 중요한 인프라다. 수도권에 버금가는 메가시티 조성에 힘을 모아야 할 때인 것만은 분명하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