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김밥 한 줄 3000원시대 종료…고물가 고삐 다시 죄어야
상태바
[사설]김밥 한 줄 3000원시대 종료…고물가 고삐 다시 죄어야
  • 경상일보
  • 승인 2023.01.05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밥 한 줄의 가격이 결국 3000원을 넘어섰다. 4일 한국소비자원 가격정보포털인 참가격에 따르면 지난 12월 울산지역의 외식품목 8개 평균 가격이 1년 전 대비 2%에서 최대 14%까지 인상된 것으로 조사됐다. 외식비가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은 김밥(3100원)으로 전년 대비 14.81%(400원) 인상됐다.

김밥 한 줄 가격은 외식비 상승의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대부분 김밥 한 줄에 라면을 곁들여 먹는데, 그 가격이 가게에 따라 1만원에 육박한다. 더 이상 김밥은 서민 음식이 아닌 것이다. 취약계층에게 외식비 상승은 치명적일 수 있다. 울산시와 정부 당국은 치솟는 외식비와 서비스 가격을 잡아야 한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울산지역 칼국수와 삼계탕은 전년 대비 각각 12.16%(900원), 10.61%(1400원) 올랐으며, 대표적 외식메뉴인 삼겹살(200g)도 전년 대비 9.19%(1375원) 올랐다. 이외에도 비빔밥은 8.54%(700원), 자장면은 8.47%(500원), 냉면은 7.23%(600원), 김치찌개 백반은 2.78%(200원) 각각 인상됐다. 울산은 서울에 비해서도 물가가 높은 편이다. 서울의 경우 대표 외식품목 8개의 평균 가격은 같은 해 1월보다 13.8% 상승했다. 울산은 최대 14%까지 올랐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외식물가 상승률은 7.7%다. 1992년(10.3%)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다.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5.1%로 외환위기 때인 1998년 7.5%를 기록한 이후 24년 만의 최고 수치였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일 새해 첫 비상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면서 “올해 전체로 보면 물가는 하향 안정세가 뚜렷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당분간은 상방 압력 지속으로 고물가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벌써 설명절을 앞두고 물가가 더 오를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오고 있다.

물가는 한번 오르면 내리지 않는 특성이 있다. 김밥 한 줄 가격이 내린 경우는 유사 이래로 한 번도 없었다. 물가가 계속 오르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고작 1.7%다. 이같은 경제 한파 속에서 일자리는 더욱 없어지고 있다. KDI(한국개발연구원)는 올해 취업자 수 증가 폭이 8만4000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와 시는 미리부터 설명절 성수품 공급을 최대 규모로 늘리고 취약계층의 사회안전망을 다시 촘촘하게 짜야할 것이다. 물가안정의 가장 시급한 대책은 역시 시민들의 불안심리를 잠재우는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