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UNIST는 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정훈 교수팀이 왜곡된 영상에 숨어있는 정보를 이용해 고해상도 영상을 복원하는 방법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일상 속 다양한 현상들은 아지랑이나 안개, 바람 등 다양한 왜곡 원인에 의해 가려지는데, 특히 운전에 위험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날씨와 상관없이 안전한 자율주행을 구현하려면 영상 왜곡을 극복해야 한다.
영상 왜곡을 보정하는 ‘적응광학기술’은 이미 천문우주 분야에서 쓰이고 있지만 파면측정기나 파면제어기 같은 비싼 전문장비가 필요하다.
박 교수팀은 고가의 전문장비 없이도 왜곡된 영상을 복원하는 손쉬운 방법을 개발했다. 우선 왜곡된 영상에서 ‘해상도를 저하하는 성분’과 ‘위치만 변화시키는 성분’을 나눴다. 그런 다음 위치 변화의 효과를 컴퓨터로 제거했다. 영상 하나를 기준으로 위치 성분을 모두 옮겨 제자리에 둔 것이다. 이 상태에서는 해상도를 저하하는 성분만 모아 평균값을 낼 수 있다. 무작위적인 해상도 저하 원인 요소들의 평균을 구해 제거하는 개념으로, 실제 물체의 정보만 추출해 고해상도 영상이 복원된다.
개발된 방법은 생체조직처럼 빛의 산란이 훨씬 심한 물체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박정훈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궂은 날씨에도 안정적인 자율주행 구현은 물론 원거리 감시, 천문학 등에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레이저 앤 포토닉스 리뷰’에 지난 1일자로 공개됐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