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천마을 주민 등 90여명은 5일 외동읍 녹동의 폐기물재활용업체 공사 현장을 방문해 폐기물 처리시설 결사반대 입장을 전달하고 항의했다. 이 과정에서 경주시 공무원과 주민간의 가벼운 몸싸움이 일어나기도 했다.
주민들은 폐기물재활용업체가 들어서는 위치는 행정구역상 경주시 외동읍이지만, 경주보다 북구 주민들의 마을이 더 가까워 사실상 마을 인근에 폐기물처리장이 생기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달천 주민들은 “국민의 혈세를 들여 만든 편백산림욕장이 500m도 안된다”며 “지형상 냄새, 오수가 모두 울산 쪽으로 흐르는데 왜 여기다 지었나, 문제없으면 경주시청 옆에다 지으라”고 강변했다. 이어 “이런 (기피)시설을 지으려면 적어도 주민동의는 득하고 해야 하는 거 아니냐”며 “경주는 피해 안 보고 울산만 피해 보는 것 아닌가”라고 성토했다.
폐기물재활용업체는 하수슬러지 등을 건조해 시멘트 부원료로 생산하는 민간업체로, 2020년 6월 사업계획적합통보를 받았다. 이후 주민반발 및 악취가 예상돼 당초의 미생물을 이용한 호기성 분해방식을 수막 세정 기술을 이용한 건조방식으로 변경해 관련 시설을 설치 중이다.
경주시 측은 “폐기물처리장 처리용량이 하루 100t 이상일 경우에는 환경영향평가 대상사업에 포함되지만 해당 시설은 현재 80t으로 신고한 상황”이라며 “이는 주민설명회와 환경영향평가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경주시가 인접 지자체에 접해 건립되는 기피시설에 대해 공유하지 않은 점에 대해 지역이기주의와 행정편의주의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게다가 지난해 11월 울산북구의회 ‘의회에바란다’ 게시판에 폐기물시설 관련 질의 글이 등록됐지만, 담당자가 질의 내용을 확인하고도 의원들과 담당부서에 전달되지 않은 일이 뒤늦게 밝혀져 논란이 되고 있다.
주민 반발에 대해 폐기물처리업체 대표는 “오수는 경주방향으로 설계돼 있고 악취제거를 위해 신 공법인 수막 탈취 공법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경주시와 이진락 경주시의원은 “경주시 차원에서 주민, 울산시, 업체 사이를 협의·중재하고 정보를 공유하겠다”며 “대의기관으로서 수시로 감시하겠다”고 답했다.
신동섭기자 shingiz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