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울산시에 따르면, 시장형 노인 일자리 사업장은 노인이 일하는 식당이나 반찬가게 등으로 구성된다. 각 구군 시니어클럽이 운영하고 있다.
고용이 목적이어서 이윤에 얽매이지 않는 공익적 성격이 짙다 보니 이용 가격이 평균보다 저렴하게 책정된다. 중·남구와 울주군 노인 일자리 식당은 식사 한끼가 5000~6000원선으로 취약계층이나 고령층도 자주 찾고 있다.
그러나 최근 식자재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운영 손실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주군의 한 노인 일자리 식당은 지난해 말 가격을 500원 인상했다. 남구 노인 일자리 음식점도 지난 2018년 오픈한 이후 동결하던 가격을 지난해 1000원 인상했다. 노인 일자리 반찬가게의 경우 인상 움직임은 없지만 고물가가 이어질 경우 가격을 올릴 가능성도 있다.
울산 시니어클럽 관계자는 “국비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만큼, 좋은 음식을 좋은 가격에 시민들에게 돌려주자는 취지로 운영되고 있으나 고물가 여파가 크게 다가온다”며 “공공요금까지 올라서 지원금을 받아도 인건비, 식자재값 등을 지급하면 매달 손해가 안 난다고 할 수 없다”고 밝혔다.
시장형 노인 일자리 사업장은 기존 환경미화 등 단순 노동 위주로 구성되던 노인 일자리 사업과 비교하면 양질의 일자리로 꼽히고 있고, 이용 가격도 저렴해 시민들의 관심도 높다.
이에 시장형 노인 일자리 사업장의 확충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지만 고물가 등의 여파로 손해가 이어지다 보니 확충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실제로 올해 울산의 전체 노인 일자리 1만3529개 중 시장형 노인 일자리는 642개로 지난해 대비 147개 줄었다. 이에 노인과 이용자가 모두 선호하는 시장형 노인 일자리 사업에 정부 지원금을 확대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정부 기조에 따라 올해 노인 일자리가 700개가량 줄었으나, 최근 정부가 노인 일자리 감축을 다시 복구한다고 밝혀 추가 모집의 가능성이 있다”며 “현재 노인일자리 카페 개소도 준비하고 있는 만큼 양질의 노인 일자리 확충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