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대학교병원은 10여 명의 소아청소년과 교수진이 있지만, 젊은 의사가 기하급수적으로 소아청소년과를 기피하며 대학병원의 진료 중단 사태가 시작될 수 있다는 이야기다. 실제 촉탁의로 소아혈액종양·소아암을 치료하던 한 교수의 재계약 여부를 마무리 짓지 못한 상태다. 소아청소년과를 지원한 전공의가 없어 입원 중 환자를 담당할 주치의를 배정하지 못해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즉각적인 대응이 불가능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는 울산만의 문제가 아니다. 해운대백병원 역시 당장 근무할 전공의가 단 한 명도 없고 고신대복음병원, 동아대병원, 창원경상대병원, 경북대병원, 영남대병원, 계명대동산병원 등도 1·2년 차 전공의가 전혀 없는 실정이다. 서울이라고 다르지 않다. 노원을지대병원, 서울의료원, 이대목동병원도 같은 처지다. 이에 울산·부산·경남지역 소아혈액종양·소아암 환자는 비수도권 최초로 소아전문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된 양산부산대병원·부산대어린이병원에서 치료하고 있다.
게다가 울산은 인구 1000명당 의사 수가 전국 평균 이하로 조사됐다.
16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발표한 ‘지역 의료격차 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울산의 인구 1000명당 의사 수는 0.77명으로 전국 평균 0.79명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남(0.47명), 충남(0.49명), 충북(0.54명), 경북(0.55명), 경남(0.57명), 경기(0.6명), 인천(0.71명), 전북(0.71명)에 이어 9번째다. 또 울산은 광주, 대전, 세종과 함께 공공병원이 없는 지역으로 조사됐다.
경실련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전망을 보면 현행 의대 입학정원을 유지할 때 2035년에는 의사 2만7000여명이 부족할 것”이라며 공공의과대학 설립과 의대 정원 최소 1000명 이상 증원, 국립의과대학이 없는 광역시도에 100명 이상의 국공립 의대 우선 신설 등을 요구했다.
정융기 울산대병원 병원장은 “울산지역 공공·필수 의료가 유지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의사가 안정적으로 확보돼야 한다. 하지만 수도권 대형병원으로 집중된 의사를 지방에 데려오는 것은 절대 쉽지 않기에 자체 양성이 필요하다”라면서 “최근 울산대 의과대학의 울산 환원은 반가운 일이지만, 졸업 후 수련 기회가 주어지지 않는다면 타지역으로 갈 수밖에 없다. 이를 막기 위해서는 의대 정원 수에 맞춰 전공의 수도 지금보다 늘려야 하고, 나아가 지역 사회를 위해 전국 최저 수준인 울산대 의과대학 정원 증원을 위해 지역사회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상헌기자 honey@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