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단에 연세대 산학협력단 선정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까지 추진
실용화 위한 생산공정 연구도 지원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까지 추진
실용화 위한 생산공정 연구도 지원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은 국민 보건안전과 백신주권 강화를 목표로 2018년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기획한 사업으로 2019년 3월 정부 내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올해 7월부터 10년간(20~29) 국비 2151억원이 투자되는 감염병 분야 대형 연구사업이다.
사업단은 결핵, A형간염, 수족구병 등 주요 감염병 극복을 목표로 후보물질 발굴부터 임상시험 연계까지 백신 개발의 전주기에 걸쳐 연구개발을 추진하며, 백신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실용화를 위해 필요한 생산공정 연구, 임상시험 시료 생산 등 과제도 지원하여 국내 자체 개발·생산으로 연계되도록 할 예정이다.
특히 현재 긴급대응으로 수행 중인 코로나 백신 후보물질 개발 연구들의 성과를 이어받아 비임상·임상시험의 후속연구 지원 등 코로나 백신 개발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는 7월 전까지 사업단 운영체계 등을 신속히 구성·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사업단은 효율적인 민-관 협업, 기초-임상 연계를 위해, 질병관리본부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의 민간지원 기반시설(인프라)을 적극 활용하고, 국가 감염병연구 통제탑(컨트롤타워)인 국가바이러스·감염병연구소와 협력해 국내 감염병 대응을 위한 보건안보 체계 구축의 한 축으로 역할을 담당할 예정이다.
김성순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장은 “올해 출범할 사업단이 신종감염병, 필수예방접종 백신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실용화로 연계되는 가교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코로나 대응 백신 개발에 속도를 더할 것”이라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