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4·19 혁명 문화유산’을 집중 발굴해 민주화 문화유산으로는 처음으로 국가등록문화재 등록을 추진한다고 9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그동안 4·19 혁명 관련 유물 179건을 발굴했고 자문회의를 거쳐 그 중 7건을 등록 우선 추진 대상으로 정했다.
대상은 ‘4·19 혁명 참여 고려대 학생 부상자 명단’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19 혁명 참여자 구술 조사서)’ ‘연세대학교 4월혁명연구반 수집자료(4·19 혁명 계엄포고문)’ ‘부산일보 허종 기자가 촬영한 김주열 열사 사진’ ‘자유당 부정선거 자료’ ‘이승만 사임서’ ‘마산 지역 학생 일기’ ‘동성고 이병태 학생 일기-내가 겪은 4·19 데모’다. 당시 고등학생이던 김주열은 마산 앞바다에서 오른쪽 눈에 최루탄이 박힌 참혹한 모습으로 숨진 채 떠올랐는데, 1960년 4월 11일 허종 기자가 시신을 촬영해 보도했다. 이 사진은 4·19 혁명을 촉발하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홍영진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