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기 중 수은의 출처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최성득 UNIST 지구환경도시공학과 교수팀은 대기 중 수은 출처와 공간적·계절적 분포를 정확하게 알아낼 수 있는 평가기술을 개발했다고 1일 밝혔다.
수은은 다양한 동위원소가 존재하는데, 이 동위원소의 비율을 분석해 수은의 출처를 알아낼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해낸 기술은 고해상도 대기모니터링과 수은 동위원소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수은의 출처를 3가지로 나눠 분석하는 기법을 통해 정확도를 높였다.

연구팀은 이 평가법으로 울산지역 대기에 대한 분석을 진행했다. 30개 지점의 대기를 1년간 채취해 분석한 결과 울산지역 수은 농도는 계절과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봄·여름에는 남동풍이 우세해 해안가 산단에서 배출된 수은이 울산 내륙으로 확산됐고 가을·겨울에는 북서풍이 대기 중 수은을 동해상으로 이동시켜 수은 농도가 낮아졌다.
비철금속 산업단지에서 최고 농도를 보였으며, 특히 여름철에는 수은 농도의 73%가 비철금속 산업과 같은 인위적 배출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산업단지가 있는 타지역에 대한 장기 분석을 진행 중이며, 이 분석법은 인접국에서 넘어오는 수은의 기여도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성득 교수는 “검출된 수은 농도가 미국환경보호청 권고 기준(300ng/㎥)을 초과하진 않지만 수은은 잔류성이 큰 물질이므로 산업단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조인규 UNIST 연구원이 제1저자로, 권세윤 포스텍 교수와 임재현·황동운 국립수산과학원 박사가 공동 연구자로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환경 분야 최상위 학술지인 유해물질저널(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4월호에 출판됐다. 주하연기자 joohy@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