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의 생활물류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도심과 외곽 지역간 배송 서비스 격차, 택배 근로자의 열악한 작업환경 등 주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물류 기술’을 적극 도입해야 한다는 정책 제언이 나왔다.
울산연구원은 3일 발표한 연구보고서 ‘울산 스마트 생활물류(택배) 기술 적용 방안’을 통해 이 같은 제언을 내놨다.
연구를 맡은 조민지 박사는 울산의 스배 산업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지만, 택배 근로자의 과중한 노동 환경, 물류 인프라 부족, 도심과 외곽 지역 간 배송 격차 등이 주요 현안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울산시의 택배 산업 현황을 분석하고 국내외 스마트 물류 기술 및 정책 동향을 반영해 울산에 적합한 스마트 물류 기술을 도출했으며, ‘AI(인공지능) 기반 경로 최적화, 자율주행 택배 차량, 드론 배송, 친환경 물류 차량 도입’ 등을 주요 기술로 제시했다.
조 박사는 울산시가 추진을 고려해야 할 정책으로 ‘스마트 물류 거점 구축 사업’을 제안했으며, 이는 공동배송센터 및 마이크로 풀필먼트 센터(MFC)를 조성해 물류 서비스 격차를 해소하고 AI 기반 경로 최적화 시스템을 도입하자는 것이다.
또 ‘자율주행 및 드론 배송 실증사업 확대’를 통해 자율주행 택배 차량과 드론 배송을 시범 운영하고 실증 데이터를 축적해 단계적 상용화를 추진할 것을 주문했다.
이와 함께 ‘친환경 물류 시스템 도입’으로 전기·수소 기반 친환경 물류 차량 도입을 확대하고 충전 인프라를 확충해 친환경 물류 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택배 종사자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자동화 물류 시스템 도입, 안전 모니터링 장비 및 휴게공간 확충 등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무엇보다 조 박사는 “정책적 지원과 선제적 인프라 구축, 그리고 물류 기업 및 연구기관과의 적극적인 협력이 요구된다”며 “이를 통해 울산형 스마트 물류 모델을 실현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