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여야 대선 후보들이 울산을 향한 첫 산업 공약을 발표하며 지역 표심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조선업을 미래 전략산업으로 고도화하겠다는 구상을 내놨고, 국민의힘은 울산을 탄소중립과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는 ‘미래산업 수도’로 육성하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산업수도이자 노동자 도시로서 갖는 울산의 정치·경제적 상징성과 전략적 중요성을 감안한 공약으로 풀이된다.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친환경·스마트 선박과 해양에너지, 디지털 조선소 등으로 대표되는 ‘K-조선’ 체제로의 전환을 통해 울산 조선업의 재도약을 꾀하겠다는 계획이다. 자율운항 기술, 해상풍력 대응 선박, 중소 조선사 경쟁력 강화 등 비교적 구체적인 실행 방향도 제시했다. 조선업의 핵심 거점인 울산의 산업 정체성을 되살리고, 관련 노동자들의 표심을 의식한 행보로 읽힌다.
이에 맞서 국민의힘은 기존 주력 산업에 AI(인공지능) 기반 제조 혁신을 접목하고, 양자기술과 수중 데이터센터 같은 초격차 기술 인프라를 구축해 울산을 미래 산업의 중심지로 탈바꿈시키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전통 산업의 친환경 전환과 디지털 기반 환경 관리 체계 구축, 관련 인력 양성 등을 통해 울산 산업 전반의 체질 개선에 나서겠다는 전략이다.
이번 공약은 ‘산업구조 전환’이라는 울산의 절박한 과제를 대선 후보들이 정면으로 다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작지 않다. 자동차·조선·화학 등 중후장대형 산업으로 성장해 온 울산은 주력 제조업의 위기, 성장 동력의 상실, 기후 위기 등으로 ‘울산 디스토피아’라는 암울한 현실에 직면해 있다. 위기에 잘 대응하지 못하면 지역 경제는 급속한 쇠퇴일로에 빠질수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여야 대선 후보들이 울산을 향한 첫 공약을 제시한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이제부터가 정말 중요하다. 절망을 희망으로, 침체를 혁신으로 바꾸려면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대선 공약과 국정 과제 반영이 전제되어야 한다.
울산은 이번 대선을 지역 미래를 바꾸는 전환점으로, 국가 균형 발전을 실현하는 실질적인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 산업의 체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 수 있는 실현 가능한 정책 공약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울산시와 정치권, 지역 사회가 지역 현안을 대선 의제로 이끌어내는 데 한목소리를 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