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글로벌 혁신 규제자유특구’와 ‘수소특화단지’ 지정 공모 절차를 시작하면서, 울산을 포함한 전국의 자치단체 간 치열한 유치 경쟁이 본격화했다. 수소 생산과 저장·이송·활용 등 수소산업 전주기 서플라이 체인을 구축한 울산은 수소 특화 도시라는 강점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 공모에서 잇따라 고배를 마신 바 있다. 울산시는 이번에는 철저한 준비와 전략을 통해, 글로벌 혁신 규제자유특구와 수소 특화단지 유치라는 두 마리 토끼를 반드시 잡아야 할 것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오는 9월 15일부터 19일까지 비수도권 광역·기초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규제자유특구(7곳)와 글로벌 혁신 규제자유특구(5곳) 지정 공모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글로벌 혁신 특구는 기존 규제자유특구를 더욱 발전시킨 형태로, 현재 전국에는 부산, 강원, 충북, 전남 등 총 7곳이 혁신특구로 지정돼 있다.
울산은 지난 2023년 친환경 이동수단 규제자유특구와 게놈특구를 묶어 ‘글로벌 혁신특구’에 도전했지만, 탈락했다. 중기부는 올해에도 대구, 경남, 대전 등 3곳을 글로벌 혁신특구로 추가 지정했지만, 울산은 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이런 상황에서 울산이 글로벌 혁신특구로 도전한 수소친환경이동수단 규제자유특구는 올해 말 6년간의 특구 운영이 종료된다.
이와 함께 산업통상자원부가 이달부터 내달 8월14일까지 수소특화단지 지정 공모 절차를 시작하면서 특화단지 유치 경쟁에도 불이 붙었다. 수소특화단지는 수소 사업자 및 지원 시설 집적화와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지정되며,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연구개발(R&D) 및 장비 지원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울산은 지난해 1호 수소특화단지 도전에 나섰다가 예기치 않게 고배를 마셨다. 현재 동해·삼척(액화수소 저장·운송), 포항(발전용 연료전지) 등 2곳이 수소특화단지로 지정돼 운용 중이다. 세계적인 수소도시인 울산이 정작 제 역할을 평가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정부가 울산을 글로벌 혁신특구와 수소특화단지 지정에서 계속해서 배제하는 것은 어떤 이유에서도 납득하기 어렵다. 이는 울산이 국가 산업 정책에서 충분한 배려를 받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여실히 드러낸다. 만약 이번 기회를 놓친다면, 울산은 수소경제 대열에서 뒤처질 우려가 크다. 정부는 울산의 노력과 잠재력을 충분히 인정하고, 수소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