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맑은물 확보 계획 또다시 불확실성 커졌다
상태바
울산 맑은물 확보 계획 또다시 불확실성 커졌다
  • 이다예 기자
  • 승인 2025.08.08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의 숙원인 맑은 물 확보 계획에 또 비상이 걸렸다.

정부가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을 원점 재검토하려는 신호를 보내면서, 기존 대구시의 ‘맑은 물 하이웨이’ 구상이 사실상 유보된 데 따른 것이다. 자칫 울산시가 맑은 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전제가 흔들릴 수 있는 만큼 대응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7일 낙동강 유역 안동댐·영주댐·강정고령보와 경북 구미시 해평취수장 등 취·정수장을 방문해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과 관련한 의견을 들었다.

김 장관의 행보는 취수원 다변화 방안을 원점에서 다시 논의하겠다는 의중이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대안으로 사실상 정책화 중이던 대구시의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과 관련된 안동댐, 과거 대안으로 떠올랐던 해평취수장을 이날 동시에 찾았기 때문이다. 해평취수장 활용안이 대안으로 다시 부상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불과 반년 전만 해도 정부안으로 밀어붙이던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재검토 대상이 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울산시는 다시 고민에 빠지게 됐다.

시는 올해 초까지만 해도 환경부 등과 실무 협의를 하며 낙관적인 전망을 내비치기도 했다.

시의 맑은 물 확보 전략은 안동댐 직하류에서 문산·매곡정수장까지 110㎞의 도수관을 놓아 하루 46만t의 물을 공급받는 것을 골자로 하는 대구시의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과 맞닿아있다. 대구시가 취수원을 이전하는 동시에 운문댐 물을 확실하게 확보하려던 울산시로서는 물 확보의 최대 기회가 날아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대구시는 ‘안동댐을 우선 협의하되 필요하다면 해평취수장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황이다. 맑은 물 하이웨이 사업이 제안되기 전에는 낙동강 상류에 있는 구미시 해평취수장에서 하루 30만t씩 대구와 경북에 공급하는 안이 추진된 바 있다. 2002년 문재인 정부 시절 대구시·경북도·구미시 등 관련 지방자치단체와 국무조정실,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등이 방안 추진을 위한 ‘맑은 물 상생 협정’을 맺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정권이 교체될 때마다 물 관리 정책이 바뀌는 것을 두고 정부 신뢰성을 지적한다.

실제로 새 정부가 들어서면서 낙동강 상류 지자체 간 취수원 확보를 둘러싼 갈등은 심화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울산의 경우 맑은 물 확보 협상 테이블에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반구천의 암각화 보존 문제를 강력한 명분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울산시는 혼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운문댐 물 확보의 시급성을 호소한다. 정부가 지역 상수원 확보를 위해 빠른 결정을 내려주길 바라는 입장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안동댐이든 해평취수장이든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방안이 실리적으로 결정돼 시민들을 위한 맑은 물 확보에 제대로 나설 수 있길 바란다”며 “환경부 장관이 울산을 방문한다면 암각화 수몰 실태와 상수원 확보 필요성 등을 적극 어필하겠다”고 말했다. 이다예기자 ties@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6)도시바람길숲-새이골공원
  • [현장사진]울산 태화교 인근 둔치 침수…호우경보 속 도심 곳곳 피해 속출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폭우에 단수까지…서울주 3만5천여가구 고통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4)공원이 품은 정신-해오름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