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비웃는 일산 해수욕장 폭죽판매 성행
상태바
규제 비웃는 일산 해수욕장 폭죽판매 성행
  • 김은정 기자
  • 승인 2025.08.11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울산 동구 일산해수욕장 인근 도로변에 ‘해수욕장 내 폭죽사용 금지’라는 문구가 적힌 현수막이 설치돼 있다. 동구는 해수욕장 주변에 한국어와 영어로 된 현수막을 걸어 이용객들에게 계도 활동을 벌이고 있다.
본격적인 여름 피서철을 맞아 해수욕장을 찾는 인파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해수욕장 내 폭죽 사용을 둘러싼 논란이 다시 불거지고 있다.

현행법상 지방자치단체 허가 없는 폭죽 사용은 명백한 불법이지만 인근 편의점에서는 여전히 폭죽이 버젓이 판매되고 있어 규제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8일 울산 동구 일산해수욕장과 해변을 중심으로 반경 1㎞ 이내 편의점 10곳을 둘러본 결과, 단 한 곳을 제외한 9곳에서 폭죽을 판매하고 있었다.

여름철 해변 용품들 사이 매대 한쪽에 진열된 폭죽들은 화려한 포장과 저렴한 가격으로 피서객들의 시선을 끌었다. 한 편의점 업주는 “백사장 안에서 사용이 금지된 건 알지만 다른 편의점도 다 팔고 있어 없앨 수가 없다”며 “없으면 왜 없냐고 묻는 경우도 있고 여름이면 찾는 사람이 꾸준하다”고 말했다.

현행 해수욕장법 제22조 제1항 제8호는 ‘해수욕장에서 폭죽을 사용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이는 인파가 몰리는 여름철 해수욕장에서의 폭죽 사용이 화재나 부상 등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조치다.

그러나 해당 법령에는 판매를 제한하는 내용이 없어 지자체가 폭죽 판매를 막을 법적 근거가 없다. 이 때문에 이용객들은 별다른 문제의식 없이 폭죽을 구매·사용하고 있다.

이에 해수욕장들은 매년 여름철 ‘폭죽 사용 금지’ 현수막을 백사장 곳곳에 걸고 순찰 인력을 투입해 계도 활동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해수욕장 입구에서 불과 수십m 떨어진 편의점에서 폭죽을 쉽게 구매할 수 있는 현실에서 이용객이 규제를 엄격하게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한 피서객은 “편의점에서 아무렇지 않게 팔길래 당연히 허용되는 줄 알았다”며 “금지라면 애초에 못 사게 해야 하는 것이 아니냐”고 반문했다.

동구 관계자는 “해수욕장 내 사용은 불법이지만 편의점이나 상점에서 폭죽을 판매한다고 해서 단속할 수는 없다”며 “결국 현장에서 사용하다 적발될 때만 제재할 수 있어 현수막 설치와 현장 계도를 통해 최대한 사용을 막을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글·사진=김은정기자 k2129173@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6)도시바람길숲-새이골공원
  • [현장사진]울산 태화교 인근 둔치 침수…호우경보 속 도심 곳곳 피해 속출
  • 폭우에 단수까지…서울주 3만5천여가구 고통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4)공원이 품은 정신-해오름공원
  • 태화강 2년만에 홍수특보…반천에선 車 51대 침수
  • [정안태의 인생수업(4)]이혼숙려캠프, 관계의 민낯 비추는 거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