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면서 문 대통령은 건설이 지연되고 있는 신한울 1·2호기와 신고리 5·6호기에 대해 “가능하면 이른 시간 내에 단계적으로 정상가동을 할 수 있도록 점검해달라”고 주문했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발언을 두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와 맞물려 글로벌 에너지 공급망을 점검하는 과정에서 나온 언급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치권을 중심으로 문 대통령이 대선을 앞두고서 야권의 탈원전 정책 공세에 중도층의 여론을 의식한 메시지를 낸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실제 정부는 지난해 10월에도 2050년까지 원전 비중을 6.1%로 낮춘다는 탈원전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그러다보니 탈원전에 비판적인 여권 대선후보에 힘을 실어주기 위한 목적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다.
그래서 임기 내내 탈원전을 외치던 문 대통령의 발언이라고 선뜻 받아들이기 어렵다. 문재인 정부 5년간 통상 80~90%를 넘던 원전 이용률은 평균 71.5%에 불과했다. 신규 원전 건설도 계속해 지연됐다. 신고리 건설공사의 경우 최초 계획대로라면 5호기는 지난해 3월, 6호기는 다음달 준공이다. 하지만 문 대통령 취임 이후 공론화, 내진성능향상 추진 등을 이유로 신고리 5호기는 2024년 3월, 신고리 6호기는 2025년 3월 각각 준공되는 것으로 늦춰졌다. 이로 인해 지역 원전 관련 산업계도 피해를 호소하며 대책 마련을 요구하기도 했다.
정부의 탈원전 기조 속 세계 최고의 원전 산업 생태계가 상당 부분 무너졌다. 원자력 대신 비싼 LNG(액화천연가스)와 신재생에너지 발전을 확대하느라 한전은 6조원에 육박하는 영업손실을 내고 있다.
울산에 있어서도 원전은 중요한 산업 생태계의 한 축이다. 이번 대통령의 발언으로 신고리 5·6호기 건립이 더이상 지연될 가능성은 일단 낮아졌다는 점은 다행이다. 급변하는 글로벌 에너지 위기 상황에서 지속가능한, 예측가능한 국가 에너지 정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