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학부모들의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항체도 없는 아이들이 혹시 감염되지 않을까 하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 현재 전체 국민의 3차 접종률은 61.4%인데 12~19세는 13.6%에 불과하다. 11세 이하는 아직 1차 접종도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 이 와중에 오미크론은 쓰나미처럼 전국을 휩쓸고 있다. 정부 방역당국은 국내외 연구기관의 전망치보다 1주일가량 빠른 속도로 유행이 정점을 향해 가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방역 당국은 이달 중순까지 최대 35만명대 확진자가 나올 것으로 예측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교육당국은 장기간 비대면 교육으로 교육 양극화가 심화됐다며 최대한 전면 등교 방침을 유지시키려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당국은 학교 방역과 학사 운영은 각 학교에서 결정하도록 방침을 바꿨다. 그러다보니 학교에 따라 ‘전면등교에서 등교·원격 병행’ ‘오전 등교, 오후 원격수업’ ‘매일등교, 격주등교’ 등 학교운영 시스템이 복잡하게 흘러가고 있다. 이 가운데 방역 책임을 일선 학교 교사와 학부모에게 전가했다는 비판도 나오고 있다. 방역당국이 학생들의 손을 놓아버렸다는 것이다. 최근 코로나19 확진이 무증상인 상태에서 청소년을 중심으로 번지고 있다고 한다. 앞으로 전면 등교가 계속되면 학생 감염이 급증하고 이에 따라 가족 간의 감염으로도 이어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물론 그 동안 누적된 학력격차 등도 문제지만 그렇다고 학력격차 해소를 위해 학생들을 코로나19의 위험 속에 방치할 수는 없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는 일이다. 정부는 방역 정책을 불가피하게 고위험군과 중환자 관리 쪽으로 전환했더라도 유아·청소년 등 미접종자 보호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새로운 접종 독려 대책도 내놔야 한다. 현재로선 결정권을 가진 학교장이 어렵지만 결사적으로 학생들을 보호해야 하는 상황이다. 지금처럼 학교장의 재량이 중요했던 적은 없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