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와 한국수자원공사 등에 따르면 지난해 시 수질연구소가 낙동강 하류에 위치한 원동취수장에서 취수한 용수를 회야댐으로 끌어온 뒤 실시한 조사에서 발암물질인 과불화옥탄산이 두 차례나 검출됐다. 당시 검출치는 과불화옥탄산의 먹는 물 감시기준 0.070㎍/ℓ의 약 18.6%인 0.01㎍/ℓ로 기준치 이내였다.
지난 2월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가 실시한 시료 채취에서는 원동취수장 하류에 있는 물금취수장에서 발암물질인 과불화옥탄산과 1,4-다이옥산이 검출됐다. 2월 당시 낙동강 중상류인 성서공단과 구미 일원에서 발암물질이 다량 배출된 뒤 하류로 내려오면서 점차 희석된 것으로 추정된다. 울산의 취수원인 원동취수장이 물금취수장 상류에 위치해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2월 시료 채취 당시 원동취수장에서는 적어도 물금취수장보다 많은 발암물질이 울산으로 보내졌을 가능성이 높다.
현재 울산시는 시민들에게 공급하는 식수의 원수를 사실상 전량 낙동강에서 끌어 쓰고 있다. 겨울 가뭄 때문에 울산지역내 수원이 말랐기 때문이다. 이처럼 울산의 하루 용수 사용량 35만t 전량을 낙동강에 의존하게 되면 엄청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낙동강 원수에 발암물질이 흘러들 경우 울산시민들은 물을 아예 못먹게 될 수도 있다. 지난 1991년 발생한 낙동강 페놀유출 오염사고는 지금도 대표적인 식수오염사고로 각인돼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발암물질 검출과 관련해 올해부터 조사 항목을 12개에서 14개로 확대하는 등 낙동강 용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낙동강 용수에 대한 모니터링만으로 시민들의 식수 안전을 꾀한다는 것은 마치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것이나 다름 없다.
울산시민들의 식수 확보를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해야할 일은 역시 취수원의 다변화다. 낙동강물에 전적으로 의존하지 않는 다양한 취수원을 확보하는 길만이 울산시민들의 식수안전을 보장하는 확실한 대책인 것이다. 물론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천문학적인 예산과 민원 등 많은 걸림돌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포기할 일은 아니다. 페놀 같은 사태가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누구도 알 수 없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