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해저도시, 장밋빛 미래 대신 구체적 비전 담아야
상태바
[사설]울산 해저도시, 장밋빛 미래 대신 구체적 비전 담아야
  • 이재명 기자
  • 승인 2022.04.14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시는 13일 해양수산부의 ‘해저공간 창출 및 활용 기술 개발 공모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올해부터 2026년까지 5년간 민관학연 합동으로 해저 거주공간 설치 기술을 개발하고 실증하게 된다. 여기에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와 한국해양대학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롯데건설, 현대건설, SK텔레콤 등 23개 기관·기업이 연구 개발에 참여한다.

이번 공모사업의 목표는 수심 50m에서 5인이 체류할 수 있는 해저 거주공간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시는 우선 프로젝트 참여팀들과 함께 수심 30m에서 3인이 체류하는 공간을 개발하기로 했다. 이른바 ‘해저도시’의 축소판을 먼저 만드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해저도시는 생소하다.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상상의 도시나 다름 없다. 그러나 울산이 해저도시의 첫걸음을 먼저 뗄 수만 있으면 다양한 첨단기술 부문에서 앞서 나갈 수 있다. 그런 점에서 해양수산부의 ‘해저공간 창출 및 활용 기술 개발 공모사업’에 적극적으로 나서서 선정된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저도시는 원래 해양 작업자들이 해저자원을 장기간 탐사·채굴하기 위해 건설하고자 했던 해저 주거 공간을 의미한다. 이미 미국·프랑스·영국·독일·러시아·일본 등에서는 해저공간 건설이 빠른 속도로 진척되고 있다. 해저공간 창출에는 특히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저도시는 해저 기술이 총망라되는 결절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에너지는 물론 로봇, 전자통신, 건설 등 다양한 분야의 첨단기술 융합이 필요한 것은 두말 할 것도 없다. 또 이 과정에서 미래 신산업이 다수 창출될 수 있고, 새로운 일자리 또한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특히 해저 관광은 울산에 또 하나의 훌륭한 산업으로 자리매김될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역시 예산이다. 울산시는 국비·시비 등 총 373억원을 생각하고 있다. 시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울산은 바다 위 부유식 해상풍력과 바닷속 해저도시가 공존하는 세계적 해양산업 선도 도시로 도약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런데 과연 이 정도의 예산으로 ‘세계적 해양산업 선도 도시’를 건설할 수 있을까 의문스럽다. 울산이 우리나라 최고의 해저도시로 우뚝 서기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밑그림을 그릴 필요가 있다. 예산 타먹기 공모사업에 그칠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장기비전을 담아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