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울산 해상풍력, 반드시 필요하나 속도는 조절해야
상태바
[사설]울산 해상풍력, 반드시 필요하나 속도는 조절해야
  • 이재명 기자
  • 승인 2022.04.21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울산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둘러싸고 지방선거 후보자들의 공방이 격화되고 있다. 이 가운데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지역균형발전특위는 지난 16일 광주·전남 신안 해상풍력 발전단지 등을 시찰한 뒤 19일 브리핑을 열고 사업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다른 말로 하면 경제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뜻이다. 신안의 풍력단지와 울산의 풍력단지가 같을 수는 없겠지만 전반적인 분위기를 보았을 때 울산의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사업에는 일정 부분 제동이 걸릴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여론이다.

울산시는 지난해 5월7일 36조원의 민간자본을 유치해 2030년까지 6000㎿ 규모의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를 건설, 2050 탄소중립을 선도하는 세계 1위의 친환경 에너지 도시로 새롭게 거듭나겠다는 ‘부유식 해상풍력 육성’의 비전을 발표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새롭고 어려운 도전이지만,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라도 울산의 부유식 해상풍력이 반드시 성공하길 기대한다”고 힘을 보탰다.

그러나 3월9일 대통령 선거에서 정권이 바뀌면서 울산 해상풍력 사업은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일단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해상풍력 발전 사업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나오고 있다. 인수위 전문가들은 신안 해상풍력 발전 사업의 경우 실제 설비량과 발전량 간에 큰 차이가 있는 만큼 경제성을 신중히 따져봐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또 지방선거에서 울산시장으로 출마하는 국민의힘 후보들은 한 목소리로 해상풍력 사업의 효율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반면 현 송철호 울산시장은 지난 19일 인수위를 방문해 부유식 해상풍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업의 연속성을 당부했다.

이처럼 울산의 해상풍력 사업은 극과 극으로 찬반이 엇갈리고 있다. 이는 에너지 관련 사업이 신재생 에너지와 탈원전에서 다시 원전으로 복귀하는 쪽으로 방향을 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재생 에너지는 포기해서는 안되는 중요 자원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우크라이나 사태와 같은 상황이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알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다만 해상풍력과 관련한 찬반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는만큼 속도조절과 사업조정을 할 필요는 있다. 마침 오는 22일 윤석열 당선자가 울산을 방문한다고 하니 울산의 해상풍력에 대한 윤 당선자의 생각을 들어보는 것도 시민들에게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