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수주호황에도 인력난, 정부가 나설 때다
상태바
[사설]수주호황에도 인력난, 정부가 나설 때다
  • 이재명 기자
  • 승인 2022.05.11 0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선업계가 유례없는 수주로 모처럼 활기를 되찾고 있으나 인력난 때문에 황금 같은 기회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다. 기능인력의 안정적 공급을 통해 기술축적이 이뤄지고, 양질의 일자리에 인력이 몰리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하지만 해결의 실마리는 보이지 않고 있다. 우리나라 조선업계의 국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서라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조선업계에 따르면 국내 ‘빅3’ 가운데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은 지난달 이미 올해 수주목표의 절반 이상을 채웠고, 나머지 업체들도 지난해부터 전에 없던 수주 랠리를 기록 중이다.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등의 여파로 올해 1분기 LNG운반선 발주량은 2억9986만CGT(표준선 환산톤수·37척)으로 분기 기준 최대를 기록했다. LNG선은 고부가가치 선박일 뿐만 아니라 한국의 수주점유율이 90%가 넘는 ‘효자’ 선종이다.

그러나 조선업계의 표정이 마냥 밝지만은 않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에 따르면 사내 협력사를 포함한 국내 조선소 인력은 2014년 말 20만3441명에서 지난해 말 9만2687명으로 7년 새 54%나 줄었다. 특히 조선업 불황이 닥쳤던 2016년과 2017년에는 생산인력이 전년 대비 각각 17.5%, 34.3% 감소했다. 협회는 올해 9월 기준 조선 현장의 생산기능인력(협력사 제외)이 4만7000명까지 필요하지만, 현재 인력 수준은 3만8000명대에 머물러 9500명이 추가적으로 투입돼야 한다는 분석을 내놨다.

인력난은 2016~2019년 조선업 불황에 따른 구조조정의 여파가 크지만 설계·연구 등 기술력을 보유한 인력들이 조선업 취업을 꺼리는 것도 큰 이유로 지목된다. 그러다보니 한국업체에 발주를 원하는 해외 선사들이 중국이나 일본으로 발을 돌리는 상황도 벌어지고 있다. 지난해 울산상공회의소는 조선업 인력난을 타개하기 위해 6개 부처에 대책을 건의하기도 했으나 뾰족한 대안은 나오지 않고 있다. 이 가운데 법무부는 최근 조선업 관련 용접공·도장공·전기공학·플랜트공학기술자 등 4개 직종에 대한 E-7 비자발급 요건을 완화했지만 현대중공업 노조는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며 반대입장을 밝혔다.

모처럼 맞은 조선업 호황이 인력난 때문에 좌절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국가산업과 지역경제, 기업, 근로자 모두를 위해 하루 빨리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지난 2016년 구조조정의 악몽을 다시 재현하는 일은 다시는 없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