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매장문화재 유존지역 정보 고도화 사업’이 완료되면 매장문화재의 위치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돼 토지의 효율적인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사업을 주도하는 울산시는 이 점을 고려해 매장문화재의 정보를 토지이용계획원에 등재하는 등 전 시민들이 공유하도록 하는 방안을 폭넓게 강구할 필요가 있다.
울산시가 고도화 사업을 추진하려는 매장문화재 유존지역 정보는 20년 전에 구축한 것으로, 현재 상황과는 많이 다르다. 이에 따라 시는 국비와 시비 등 총 12억5000만원을 투입해 내년 6월까지 용역을 진행할 예정이다. 범위는 울산 도심지역 약 755.44㎢로, 울주군 487.73㎢, 북구 120.59㎢, 남구 73.7㎢, 중구 37.07㎢, 동구 36.35㎢ 등이다. 시는 추후 비도심지역에 대한 조사도 실시하기로 했다.
울산의 경우 많은 선사시대 문화재가 발굴됐으나 지하에 매장된 문화재는 더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조선시대 문화재들은 근현대로 넘어오면서 건축물 등이 계속 건립돼 지표면에서는 흔적을 찾기도 힘들 정도다. 그러다보니 무학 울산공장 개발처럼 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는 와중에 갑자기 매장문화재가 나와 업체를 곤혹스럽게 하기도 한다.
이를 감안해 시는 지난 2003년 당시 조선시대까지의 매장문화재에 대한 조사만 진행된 점을 감안, 이번 조사에서는 근현대사 관련 매장문화재까지 포괄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다. 또 고문헌과 고지도, 연구 결과 등을 참고해 조사 대상 지역의 문화 유적에 대한 기초 자료와 현황 조사를 실시한다. 이어 정밀 지표조사를 통해 매장문화재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 뿐만 아니라 기존 문화 유적 분포지도와 비지정 고분 실태 조사 보고서 등에 유적이 보고되지 않은 지역이나 지표 및 발굴조사를 실시하지 않은 지역에 대한 현장 육안조사도 실시한다.
매장문화재 정보는 국민 모두가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개방돼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화재청 문화재 공간정보 서비스(GIS) 시스템과 접목하는 방안도 필요하다. 이번 매장문화재 고도화 사업이 더 넓게 그리고 더 심층적으로 진행돼 시민들의 삶이 더 풍요로워지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