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2025년까지 중구 남외동, 학산동, 반구동 일원에 대한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 사업에 나선다고 한다. 산업화·도시화로 인한 아스팔트, 시멘트포장 등 불투수면의 증가로 빗물이 지표 토양으로 흡수되지 못하고 하천으로 직접 유입돼 홍수위험이 커지고 수질이 나빠지는 문제를 개선하려는 사업이다.
시는 올해 중구 남외동을 시작으로 학산동 및 반구동에 저영향개발(LID) 사업을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 저영향개발사업은 자연상태의 물 순환 체계와 유사하도록 식생 체류지, 빗물 정원, 물이 스며드는 블럭 등을 활용해 빗물이 토양으로 자연스럽게 흡수되게끔 하는 사업이다. 시는 이 사업을 통해 비점오염·홍수량·열섬저감, 물순환 회복은 물론 국가정원이 위치한 중구가 ‘정원도시’로 도약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보고있다.
울산은 2016년 5월 환경부로부터 ‘물순환 선도도시’로 선정됐다. 이에따라 태화강(국가하천구간)과 동천 등 2개하천 유역(127㎢)은 2019년 10월‘비점오염원 관리지역’으로 지정됐다. 시는 도시, 농지, 산지 등 불특정 장소에서 강우에 의한 유출돼 수질오염을 일으키는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관리계획을 수립, 매년 이행계획을 점검 중이다.
하지만 울산은 울산미포와 온산국가공단을 비롯해 지방산단, 신도시 지역 등에 대한 비점오염 관리가 부족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대부분 지난 2006년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가 의무화되기 전에 조성된 곳이다. 따라서 강우시 하천이 오염되고, 집중호우시 상습 침수와 하천 범람이 잦은 이들 지역에 대한 비점오염원 관리 강도를 높여야 한다.
이런 가운데 울산이 물순환 건전성을 갖춘 ‘물순환 도시’로 거듭나려면 비점오염원 관리지역을 태화강 중상류와 지방하천, 소하천으로 확대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있다. 국가공단을 낀 회야강과 외황강 등 지방하천과 국가공단·지방공단을 관통하는 많은 소하천은 현재 비점오염원 관리지역 대상이 아니다. 상대적으로 비점오염원 관리가 소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중금속·유해화학물질 유입 논란이 일고 있는 온산공단 대정천, 울산석유화학단지의 영향이 큰 외황강과 고사천, 상습 침수·하천 범람이 빈번한 유곡천과 천상천 등도 물순환 생태계 균형이 깨진 하천으로 분류된다. 자연상태로의 환원은 아니더라도 물순환 기능이 훼손된 지역부터 우선 순위를 정해 비점오염원 강화대책을 세워야 한다. 아울러 주민 생활 속 실천이 중요하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