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끝없는 인구유출···울산 왜 일자리 천국인지 보여줘야
상태바
[사설]끝없는 인구유출···울산 왜 일자리 천국인지 보여줘야
  • 경상일보
  • 승인 2023.05.08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자리가 없어 울산을 등지고 타 도시로 떠나가는 탈울산 행렬이 좀처럼 멈출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 2015년 12월부터 시작된 울산의 인구 순유출 행진은 올해 3월까지 벌써 88개월째다. 이 같은 인구 유출추세가 계속된다면 내년 쯤에는 광역시의 마지노선 격인 인구 110만명선 유지조차 위태로워질 수 있다. 떠나가는 울산청년과 시민들의 발걸음을 다시 돌려세우기 위한 울산시의 공격적인 일자리 대책이 요구된다.

동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1분기 울산지역에선 총 2841명이 타 시도로 순유출됐다. 순유출 인구는 역대 최대인 지난 2021년 1분기(-5460명)와 지난해 1분기(-3456명) 보다는 규모가 소폭 줄었지만, 순유출률(-1.0%)은 여전히 동남권 최고다. 연령별로 전 연령층에서 고루 인구가 빠져나가며 지역경제의 활력을 떨어트리고 있다. 특히 동남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순유출 인구는 68%에 달했다. 이 중 청년층(20~34세)은 58.6%로 절반 이상을 차지해 울산경제의 미래를 암울하게 하고 있다.

이같은 울산의 인구 유출은 자동차와 조선, 석유화학 등 주력산업의 성장력 감퇴와 이에 따른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내지 못한 울산의 책임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또 기업과 인구가 집중되는 수도권으로의 ‘기울어진 운동장’ 구조를 바로잡기 못한 정부의 책임도 면하기 어렵다. 역대 정권의 각종 규제완화의 수혜자는 지방이 아닌 수도권이었다.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반도체, 이차전지 등 국가전략기술의 투자세액 공제율을 최대 25%까지 높이는 윤석열 정부의 ‘K칩스법’(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수혜 역시 수도권 몫이다. 삼성전자 ‘최첨단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경기 용인, 300조원),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공장 건설(경기 화성, 24조원)이 대표적 사례다.

울산시는 소멸위기에 놓인 비수도권 지자체와 연대해 수도권 집중을 막고,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대의명분 아래 지방의 기울어진 운동장을 정상화시키려는 노력을 다해야 한다. 특단의 세제 혜택과 행정·재정적 지원 내용을 담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조세특례제한법, 지방세특례제한법 등 관련 법안의 대폭적인 손질이 반격의 시작일 것이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시민을 잘 살게 하는 마음 ‘무항산무항심(無恒産無恒心)’을 수차례 강조했다. 기업유치를 통한 일자리 만들기는 바로 ‘새로 만드는 위대한 울산’의 첩경일 것이다. 김 시장의 약속처럼 산업수도의 역사를 새로 써내려가려면 이제는 “울산이 왜 일자리 천국인지 보여줘야 할 때”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