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시민들의 숙원인 울산의료원 건립이 결국 좌초됐다. 정부가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탈락시켰다. 사람의 목숨이 왔다갔다 하는데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울산의료원을 탈락시켰다는데 대해 시민들은 허탈감마저 느끼고 있다. 울산시는 규모를 축소해서라도 사업을 재추진하기로 한다지만 시민들은 그다지 기대하지 않는 모습이다. 대통령 공약도 내팽개쳐지는 판국에 정부에 어떤 기대가 있을 수 있을까.
울산시는 북구 창평동 일원에 국비 등 총 2880억원을 투입해 500병상 규모의 공공병원을 2027년까지 조성할 계획이었다. 시는 타당성 재조사를 통과하기 위해 지역 의료 낙후도, 공공의료 균형 발전, 필수 의료 수행 여건 등을 강조했지만 경제성 논리에 밀렸다고 한다. 공공병원에 경제성 논리를 갖다댔다니, 울산시민들은 분통이 터질 노릇이다. 환자가 많은 지역에는 공공병원을 세우게 하고 환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에는 다른 곳으로 가서 진료를 받으라는 말인가. 정부의 주장대로라면 울산의료는 갈수록 부익부 빈익빈의 악순환으로 빠져들 수밖에 없다. 안 그래도 인구이탈이 가장 심각한 곳이 울산이다.
지난 2020년 2월 울산에 코로나19가 확산됐을 때부터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5일 3년 4개월 만에 코로나19 비상사태를 해제했을 때까지 무수한 사람들이 숨졌다. 지금도 코로나19와의 전쟁은 완전히 끝나지 않았다. 이 가운데 미국 전문가들은 2년 내에 오미크론 바이러스와 같은 변이가 다시 창궐할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놨다. 워싱턴포스트(WP)는 최근 전염병 전문가들이 향후 2년 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에 필적하는 변이 바이러스가 발생할 확률이 약 20%라는 심각한 경고를 백악관에 보냈다고 보도했다. 이 외의 수많은 전문가들도 새로운 감염병이 곧 나타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현재 전국 17개 시·도 중 지방의료원이 없는 곳은 울산과 광주 2곳 뿐이다. 울산의 공공의료 비중은 병상 수 기준으로 1.1% 수준이다. 전국 평균 9.6%에 비해 너무나 열악한 상태다. 의료인력도 특·광역시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울산의료원은 윤 대통령의 공약이다. 공약은 특별한 이유가 없으면 지켜져야 한다. 아침에는 이랬다가 저녁에는 저랬다 하는 조삼모사하는 정책으로는 국민을 이끌고 가지 못한다. 벌써 울산시민의 마음 속에는 불신의 씨앗이 자라기 시작했다. 울산시는 병상규모를 줄여 다시 한번 신청하겠다고 한다. 경제성이 없어도 환자는 우선 살리고 보는 것이 정부와 공공병원의 역할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