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올해 2학기부터 전국 300개 학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AI) 기반의 교과과정 프로그램을 시범 도입한다. 교육부의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의 하나로 도입되는 이 교과과정 프로그램은 일종의 ‘AI 디지털교과서’로, 차세대 교과라고 할 수 있다. AI 디지털교과서는 학생의 학습 결과를 바탕으로 개개인의 맞춤형 학습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한다. 학부모와 학생들의 입장에서는 다른 학교보다 하루라도 빨리 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하고 싶은 것이 당연하다.
그런데 전국 교육청 가운데 울산시교육청만 디지털 선도학교 신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16개 교육청은 모두 시범교육청으로 선정됐는데 울산교육청만 빠진 것이다. 시교육청은 “처음에 공문이 왔을 때는 7곳 정도만 선정한다고 했고, 또 당시 교육감이 부재여서 내부 논의 끝에 신청을 안하기로 한 것”이라며 “17개 시도교육청을 전부 다 선정할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울산지역 학부모와 학생들은 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는지 이해가 안 간다고 항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울산교육청 산하 학교들은 다른 교육청에 비해 한 학기나 늦게 디지털 교육를 받게 되는 불이익을 받게 됐다.
이와 관련, 교육부는 교육감 보궐 선거 등 불가피한 사정으로 이번 공모에 신청하지 못했지만, 올해부터 시범사업에 동참하기를 희망한 울산교육청에 대해서도 컨설팅이나 협의회 참여 기회 등을 제공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다른 시범교육청은 여름방학 기간 교원 연수 등을 추진해 선도학교 운영을 준비하고 있고, 특별교부금 등 적지 않은 정부 예산도 배정되는 점을 감안하면 울산시교육청은 예산지원 배제는 물론 겨우 컨설팅만 받는 수준에 만족해야 한다. 다른 시범교육청은 최대 40억원의 예산지원을 받는다.
이번 울산시교육청의 시범교육청 신청 포기는 울산시민들에 대한 교육 포기나 다름없다. 아무리 교육감의 유고라고 해도 일선 교육청이 교육부의 정책을 제 때 시달받지 못하고, 당연히 해야 할 일을 교육감이 없다고 대책없이 미뤘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럴 때 직무를 대행하는 부교육감이라는 직책은 왜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
이번 일은 울산교육의 현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정보도 어둡고 판단도 제 때 못하는 울산시교육청의 현 주소를 다시 한번 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디지털 선도학교가 하나도 없는 유일한 광역시에 대해 학생들은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하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