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선영의 안다미로 한상]알차고 예쁜송편, 넉넉한 한가위를
상태바
[마선영의 안다미로 한상]알차고 예쁜송편, 넉넉한 한가위를
  • 전상헌 기자
  • 승인 2023.09.25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에는 옷을 얻어 입고, 한가위에는 먹을 것을 얻어먹는다.’라는 옛 속담이 있다. 한가위는 순우리말로 ‘크다’라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가 합쳐져 음력 8월 한 가운데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우리 겨레의 가장 큰 명절 중 하나인 한가위는 추석, 가배절, 중추절(中秋節), 가윗날로도 불려 왔다. 한가위의 유래는 현존하는 국내 사료 중 가장 오래된 문헌인 <삼국사기>와 이를 인용한 조선시대 <신증동국여지승람>에 기록돼 있는데, 그 시초는 신라시대의 길쌈놀이인 가배에서 찾을 수 있다.

가배는 신라 제3대 왕인 유리 이사금 때 궁중에서 하던 놀이로, 도성 안 부녀자를 두 편으로 갈라 두 명의 공주가 각파를 이끌게 하고, 음력 7월15일인 백중 다음 날부터 한 달 동안 길쌈(직물을 짜는 행위)을 삼아 음력 8월15일, 즉 한가위 당일까지 한 달간의 성적을 견루어, 진 편이 이긴 편에 한턱을 내고, 도성 사람들 모두 노래와 춤을 즐기며 놀도록 한 것이다. 한가위의 다른 이름인 중추절은 가을을 초추(初秋), 중추(中秋), 종추(終秋) 등 세 기간으로 나누었을 때, 한가위가 음력 8월 한 가운데에 들어 있어 붙은 이름이다.

추석이라는 말은 <예기>(禮記)의 조춘일(朝春日), 추석월(秋夕月)에서 나온 것이라는 설이 있는데, 중추(中秋)의 추(秋) 자와 월석(月夕·달이 밝은 저녁을 뜻하는 말로, 음력 8월을 달리 부르는 말)의 석(夕) 자를 따서 추석이라 이름 붙였다는 설도 있다. 한가위를 추석이라고 부르기 시작한 것은 신라 중엽 이후 한자 사용이 성행하기 시작한 때의 일로, 추석의 어원은 명확하지 않다.

추석이 든 음력 팔월 중순쯤이면, 들판에는 곡식이 무르익어 가고 논일과 밭일은 잠시 한가할 때다. 서양의 추수감사절과 달리 우리의 추석은 곡식이 채 영글기 전에 맞이한다. 따라서 갓 수확한 햅쌀이나 햇과실 등으로 명절을 맞아 약식으로 제사를 지냈는데, 대개 조상의 보살핌에 감사하고, 곧 다가올 풍요로운 수확을 기원하는 의미를 지닌다. 추석 차례는 조상의 생신에 지내는 기제사와 비슷한 형식으로 지냈지만, 추석 명절의 절기 음식인 송편으로 제삿밥과 국을 대신했다는 것이 추석 차례의 특이할 만한 점이다.

◇대표적인 추석 음식 송편

▲ 마선영 요리연구가·소목문화원 대표
▲ 마선영 요리연구가·소목문화원 대표

조선시대에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에 대해 기록한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한가위 음식으로 송편, 시루떡, 인절미와 밤단자를 꼽았는데, 그중 오늘날까지 이어오는 추석을 대표하는 음식이라 하면 송편을 꼽을 수 있겠다. 송편은 지방마다 서로 다른 재료를 써서 만들지만, 솔잎을 깔아 찌는 것이 공통이었다. 송편을 찔 때 아래에 솔잎을 켜켜이 깔아 찌면 송편에 은은한 향이 배어 나올 뿐만 아니라, 솔잎에 있는 살균 물질인 피톤치드가 다른 식물보다 열 배 정도 많이 포함돼 있어 유해 성분의 섭취를 막아주고, 위장병과 고혈압, 중풍과 신경통, 천식에도 좋다고 한다. 이러한 솔잎의 효능에도 불구하고 현대 사회에서 음식에 활용할 솔잎을 구하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솔잎에 송편을 찌는 대신, 송편의 주재료인 쌀가루에 백년초 가루나 도토리 가루, 단호박 가루나 모시잎 등을 섞어 다양하게 활용하면 보기에도 좋을 뿐 아니라, 다양한 영양소를 함께 섭취할 수 있다.

◇백년초 송편 만들기
△준비재료
(멥쌀가루 5컵, 물 10큰술, 백년초가루 2큰술, 시판 송편용 앙금 150g, 식용유와 참기름 약간씩, 바람떡 틀, 밀대, 찜기, 시루 밑판)
1. 멥쌀가루에 물을 넣고 고슬고슬하게 비벼 쌀가루가 곰보빵 가루처럼 뭉쳐지게 만든다.
2. 찜기에 시루 밑을 깔고, 쌀가루를 안친 다음, 김이 오른 솥에 20분간 찐다. 뜸은 들이지 않는다.
3. 찐 쌀가루를 한 덩이가 되도록 치댄다. 준비한 떡 반죽 1/6 정도 떼어, 백년초 가루를 넣고 반죽하는데, 이때 백년초 가루의 비율을 1/2티스푼, 1티스푼, 2티스푼 이렇게 조절해서 세 종류 색깔의 반죽을 준비한다.
4. 백년초가루로 물들인 떡반죽을 손으로 가늘고 길게 민 다음, 세 가지 색 떡 반죽을 나란히 놓고, 그 위에 흰색 떡반죽을 올린 다음 밀대로 민다.
5. 밀대로 민 떡반죽 위에 시판 앙금을 적당히 올리고, 앙금을 떡반죽으로 덮는다.
6. 바람떡 틀로 꾹 찍는다. 완성된 떡에 식용유와 참기름을 1대 1로 섞은 기름을 발라 완성한다.

◇도토리 송편 만들기
△준비재료
(멥쌀가루 1㎏, 도토리 가루 3큰술, 끓는 물 2컵, 식용유와 참기름 적당량, 깨 고물 3컵, 설탕 1/2컵, 찜기, 시루밑판)
1. 멥쌀가루에 도토리 가루를 섞고, 끓는 물을 넣어 익반죽한 다음 20g 정도씩 분할한다.
2. 깨 고물에 설탕을 섞는다.
3. ①에 소를 넣어 둥글게 빚은 다음, 손가락으로 눌러 모양을 낸다.
4. 시루에 시루 밑을 깔고, 김이 오른 찜통에 올려 30분간 찐다.
5. 다 익으면 꺼내어 식용유와 참기름을 1대 1로 섞은 기름을 발라 마무리한다.

마선영 요리연구가·소목문화원 대표
※QR코드를 찍으면 조리과정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김은정 인턴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 곳곳 버려진 차량에 예산·행정 낭비
  • [지역민도 찾지 않는 울산의 역사·문화명소]울산 유일 보물 지정 불상인데…
  • 확 풀린 GB규제…울산 수혜 기대감
  • 궂은 날씨에도 울산 곳곳 꽃놀이 인파
  • [기고]울산의 랜드마크!
  • 이재명 대표에서 달려든 남성, 사복경찰에게 제압당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