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선거제 막판 고심…이재명 결단 주목
상태바
민주, 선거제 막판 고심…이재명 결단 주목
  • 김두수 기자
  • 승인 2024.01.22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더불어민주당이 오는 4·10 총선에 적용할 선거제를 놓고 막판 고심을 거듭하고 있는 가운데 이재명 대표의 결단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비례대표 배분 방식을 놓고 현행 준연동형제 유지와 병립형 회귀 가운데 어떤 방식을 선택하느냐가 고민의 핵심이다.

21일 정치권에 따르면 준연동형 유지는 이재명 대표의 대선 공약 준수 및 야권 연대를 위해 필요하다는 명분론과 준연동형 유지시 여권이 위성정당 창당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총선 승리를 위해선 병립형 회귀가 불가피하다는 실리론이 팽팽하다.

민주당은 선거제 논의를 마냥 더 미룰 순 없는 만큼 조만간 입장을 정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민주당은 병립형 회귀로 기운 분위기였다.

이 대표는 작년 11월 말 “멋있게 지면 무슨 소용인가”라고 말하며 실리론에 비중을 싣는 듯했다.

하지만 이후 당내 비명(비이재명)계와 김두관·우원식 의원 등 일부 친명(친이재명)계까지 나서 이 대표가 대선때 약속한 연동형·권역별 비례제 도입을 사수해야 한다고 반발했고 이 이슈는 다시 수면 아래로 잠복했다.

당 차원에서의 선거제 논의도 지난달 14일 의원총회가 마지막이었다.

이낙연 전 대표와 비명계 의원 3명이 탈당해 제3지대 깃발을 든 상황에서 병립형 회귀를 더 논하는 것은 자칫 당의 원심력만 키운다는 우려도 고려됐다. 하지만, 최근 이 대표의 메시지를 보면 무게의 추는 병립형 회귀에서 ‘영점’으로 이동한 모습이다.

이 대표는 최근 간담회에서 “명분과 실리가 일치하지 않는데 가능한 한 균형점을 찾을 것”이라고 했다.

일단 연동형의 경우 여당이 절대 수용불가를 내세우고 있어 선거제 협상 타결이 쉽지 않다는 것을 고려하면 민주당이 가진 현실적 선택지는 두 가지다.

현행 제도(준연동형)를 유지하되 위성정당 창당을 하지 않으면서도 같은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범야권 비례연합 정당을 추진하는 것과, 병립형 회귀를 하되 지역주의를 완화할 수 있는 권역별 비례대표제를 함께 도입해 명분을 보완하는 것이다.

당내 여론은 여전히 양분돼있다.

그러나 지도부 다수는 여전히 총선 패배를 막기 위해 병립형 회귀 쪽에 힘을 더 싣는 것으로 전해졌다. 준연동형 유지시 제3지대 세력이 탄력을 받게 될 수 있다는 점도 고려 요소다.

김부겸 전 총리는 최근 병립형 회귀에 대해 “국민 배신”이라고 공개 비판하는 등 준연동형 유지 주장도 만만치 않다.

이런 가운데 ‘키’를 쥔 이 대표의 결단이 더욱 주목된다.

이 대표는 자신의 정치적 명운이 달린 이번 총선을 반드시 이겨야 하는 절박한 입장이면서도 당내 분열상을 추슬러야 하는 상황이기도 하다.

당 관계자는 “이 대표의 의중은 현재로선 ‘반반’인 것 같으며, 다양한 의견을 듣고 결정할 것이다. 당내 분란을 촉발했던 인사들이 탈당한 상황인 만큼 지도부가 어떤 결정을 해도 큰 갈등은 없을 것”이라고 기류를 전했다.

민주당은 일단 오는 25일 의원총회에서 선거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