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인이 발표한 ‘불체포 특권 포기’ 등 정치 개혁안을 두고 더불어민주당이 “정치 혐오에 기댄 포퓰리즘”이라고 비판한 데 대한 반박이다.
한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주최한 ‘동료 시민 눈높이 정치개혁 긴급 좌담회-특권 내려놓기 정당 vs 특권 지키기 정당’ 세미나 축사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 위원장은 최근 국회의원 특권을 배제하는 정치개혁 공약으로 불체포특권 포기, 금고형 이상 확정시 세비 반납, 당 귀책으로 인한 재·보궐선거 무공천, 의원 정수 300명→250명 축소, 출판기념회 정치자금 수수 금지 등을 잇달아 내놓았다.
그는 “우리가 이야기하는 5가지는 새로운 게 아니다. 국민이 원해왔지만 실천된 적이 없었던 것뿐”이라며 “당연히 국민들이 이 5가지 모두 좋아해 줄 것이라 생각한다. 내가 정치를 시작한 지 한 달도 안 됐으니 국민 시각에 가까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우리는 진짜 할 것 같지 않나. 그게 크다. 총선 끝나고 흐지부지된다?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다.
한 위원장은 “보통 정치개혁 의제가 나오면 마지못해서라도 비슷하게 따라가거나 ‘우리도 마찬가지로 할 것’이라는 게 상례였고 소위 여의도 문법이었다”며 “민주당은 이 여의도 문법조차 거부하고 있다. 5가지를 민주당은 대부분 명시적으로나 소극적으로나 반대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한 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이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명품가방 수수 논란에 대해 ‘국민 눈높이’를 강조했던 기존 입장이 달라졌느냐고 묻자 “제가 드렸던 말씀 그대로 이해해주면 되겠다”며 이같이 답했다.
그동안 한 위원장은 “기본적으로는 ‘함정 몰카’이고, 그게 처음부터 계획된 것이 맞지만, 전후 과정에서 분명히 아쉬운 점이 있고, 국민들이 걱정하실만한 부분이 있었다”(18일), “국민 눈높이에서 생각할 문제”(19일)라는 입장을 보여왔다.
한 위원장은 서울 마포을 지역구 ‘사천’(私薦) 논란으로 갈등의 시발점이 됐던 김경율 비대위원이 사퇴해야 한다는 요구가 대통령실 일각에서 거론된다는 데 대해선 “그런 요구를 받은 적이 없다”고 거듭 선을 그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