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民富論’ 발표, 2030년까지 중산층 비율 70%로…한국경제 정책 비전 제시
상태바
자유한국당 ‘民富論’ 발표, 2030년까지 중산층 비율 70%로…한국경제 정책 비전 제시
  • 김두수 기자
  • 승인 2019.09.22 21: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간주도·자유시장경제 방점

1인당 국민소득 5만달러 목표

소득주도성장 정책 폐기 등

8개 경제활성화 과제 제안도
▲ 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22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민부론’ 발간 국민보고대회에서 프리젠테이션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은 22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황교안 대표 등 지도부가 참석한 가운데 2030년까지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 달성을 위한 ‘2020 경제대전환 보고서 민부론(民富論)’을 발표했다. 또 2030년까지 가구당 연간 소득 1억원을 이뤄내고 중산층 비율 70%를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당이 지난 5월 9일 발간한 ‘경제실정 백서 징비록(懲毖錄)’은 문재인 정권 경제 정책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면 ‘민부론’은 중장기적인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데 방점을 찍었다.

이 책은 현재 한국 경제의 상황에 대해 소득주도성장·최저임금 인상·획일적 주52시간 도입·반기업 정책으로 주력 산업이 위기에 처했고, 기업의 해외 탈출이 가속화됐다고 분석했다. 국가가 국민의 삶을 모두 책임지겠다는 식의 국가 만능주의로 중앙·지방재정이 파괴됐고, 4대강과 원전 등 국가 인프라마저 붕괴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국당은 이 책에서 한국 경제의 해법으로 국가주도·평등지향의 경제 정책에서 민간주도의 자유시장 경제로의 대전환을 제시했다. 경제 성장의 과실이 개인과 가계에 우선적으로 귀속되도록 해 국민이 부자가 되는 길이 ‘민부론’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당은 ‘민부론’의 목표로 2030년까지 1인당 국민소득 5만 달러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또 2030년까지 가구당 연간 소득 1억원을 이뤄내고, 중산층 비율 70%를 달성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당은 구체적인 전략으로 △국부 경제에서 민부의 경제로의 대전환 △국가주도 경쟁력에서 민 주도 경쟁력으로 전환 △자유로운 노동시장 구축 △나라가 지원하는 복지에서 민이 여는 복지로의 지속가능한 복지 구현을 제시했다.

한국당은 경제정책 대전환을 위한 정책과제를 전략별로 20개를 제시했다. 경제활성화 정책과제로 소득주도성장 정책 폐기, 혁신적 규제개혁, 양자 통상체제 강화, 탈원전 중단, 시장 존중 부동산정책 등 8개를 선보였다.

앞서 한국당은 주말인 21일 오후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5만 여명(주최측 추산)이 참석한 가운데 조국 법무부 장관 사퇴와 문재인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는 대규모 집회를 열었다. 김두수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