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월부터 4월까지 실시된 교육부 ‘맞춤형 학업 성취도 자율 평가’에서 울산 학교들의 참여도가 전국 최하위권으로 나타났다.
울산시교육청이 학생 개개인의 학업 수준을 진단할 기회를 놓친 게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는 가운데 울산시교원단체총연합회는 울산이 학력 저하 도시로 추락했다고 비판했다.
7일 교육계에 따르면, 지난 2~4월 치러진 ‘맞춤형 학업 성취도 자율 평가’에 전국 초등학교·중학교 9341곳 중 7477곳(80%)이 참여했다.
자율 평가는 초 3부터 고 2까지 기초학력을 진단하는 평가다. 다음 학년으로 올라가면 공부를 따라가기 어려운 수준의 학생들에게 맞춤 교육을 제공하자는 취지다.
자율 평가는 학교가 참여를 결정한다. 교육부는 교과 학습이 심화되는 초 3과 중 1만큼은 학력 진단이 꼭 필요하다고 보고 지난해 12월 전국 시도교육청에 “모든 학교가 진단에 참여해 달라”고 권고했다.
그 결과 올해 부산·대구·제주는 책임교육학년(초3, 중1)이 있는 모든 초등·중학교가 평가에 참여했다. 경기·대전·충북·충남·세종·전북·광주·경북 등 8곳도 90% 이상 참여했다. 전남(86.9%), 강원(76.7%)도 참여율이 높았다.
반면, 울산은 15.7%로 경남(15.3%)과 함께 참여율이 전국에서 최하위권이었다. 이로 인해 시교육청을 향해 울산 학생 개개인의 학업 수준을 진단할 기회를 놓치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울산교총은 보도자료를 내고 울산의 참여율이 저조한 것을 지적하며 “특정 단체가 교사 업무량 증가, 학생 스트레스 심화 등 문제가 발생한다며 자율 평가에 대해 반대 입장을 표명했고, 이 단체의 반대 입장에 시교육청이 동조하면서 참여율이 저조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시교육청이 학생들의 기초 학력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있지만, 실제 ‘맞춤형 학업 성취도 자율 평가’ 참여도가 저조한 것은 이율배반적인 정책”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신원태 울산시교원단체총연합회장은 “진보 교육감은 울산 학생들의 학력을 떨어뜨리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며 “즉시 교육 정책 기조를 전환해 학생들의 기초 학력 증진 대책을 수립하라”고 촉구했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