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0월 육아 휴직 예정인데 벌써부터 걱정이 앞섭니다. 자격증이 필요한 조리사는 대체 인력을 구하기가 더욱 힘들어 걱정에 잠을 이룰 수 없습니다.”
울산시교육청 소속 학교 급식 종사자들이 급식실 대체 인력 문제 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 울산지부는 11일 시교육청 입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학비노조는 “학교급식실 조리실무사 1인이 만드는 급식의 양은 타 공공기관 급식 노동자 1인이 만드는 양보다 2~3배가 많다”며 “학교 급식 노동자의 기본급은 198만6000원으로 올해 최저임금인 206만740원보다 적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최근 서울 영동중에서 부실 급식 사태가 발생했는데, 이것은 빙산의 일각”이라며 “지난해 울산에서도 남산초, 방어진고에서 급식 중단 위기가 있었다. 시교육청이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부실 급식은 물론 급식 중단 사태가 확대되는 건 시간 문제다”고 말했다.
학비노조는 “지난해 천창수 교육감 당선 이후 급식실 대체 인력 문제를 해결해보겠다는 약속을 했고, 담당 부서에도 지시를 내린 것으로 알고 있다”며 “그러나 시간이 갈수록 대체 인력 수급은 더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노조는 “이제는 대체 인력을 구하기 위해 150차례 이상 전화를 해도 급식 현장에 일하러 온다는 사람을 찾기가 어렵다”며 “시교육청 담당 부서는 ‘예산이 없다’ ‘방법을 찾고 있다’는 이유로 차일피일 미루는 상황이다”고 꼬집었다.
학비노조는 “대체 인력 마련은 부실 급식의 근본적인 대책이 아니다”며 “최소한의 급식실 운영을 위한 미봉책에 불가하다. 시교육청의 의지만 있다면 대체 인력 마련 문제는 충분히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울산시교육청은 올해 하반기까지 학교 급식실 조리 종사자 대체 인력 지원 대책을 마련해 내년부터 안정적인 학교 급식 운영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